[기자수첩]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이태희 기자 2024. 3. 7. 07: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여기서 노인은 보통의 늙은 노인이 아닌, 지혜롭고 현명한 생각의 노인(지성인)을 의미한다.

그러나 노인을 위한 일자리는 대부분 봉사 형태의 공익형이 대부분이다.

무너져가는 지역 경제를 위해, 노인을 위한 나라를 위해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지털뉴스1팀 이태희 기자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미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인 코맥 매카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2007년 미국 영화다.

범상치 않은 영화 제목은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를 인용했다고 한다. 여기서 노인은 보통의 늙은 노인이 아닌, 지혜롭고 현명한 생각의 노인(지성인)을 의미한다. 낯설고 무섭게 변하는 세상에 노인들이 예측하며 살 수 없는 사회를 시사하는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 중심에 노인들이 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 출생)가 노인층에 진입하며, 변두리가 아닌 사회에서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충청권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해 말 기준 대전과 세종, 충남 내 베이비붐 세대는 총 121만 2125명으로, 전체 인구(395만 8860명) 중 30.6%에 해당됐다.

늘어나는 노인들은 취업 전선에 뛰어들고 있다. 빈곤 등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원인이다.

실제 지난해 충청권 내 60대 이상 노인 중 취업자는 총 52만 명으로, 6년 전인 2017년(33만 1000명)보다 57.1%나 증가했다.

그러나 노인을 위한 일자리는 대부분 봉사 형태의 공익형이 대부분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전문성과 고소득이 보장되는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를 확대하고 있지만, 불어나는 노인층을 따라잡을 진 미지수다.

해외에선 노인 일자리를 확충하기 위해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전후 세대인 단카이 세대(團塊の世代·1947-1949년 출생)가 고령층으로 편입되면서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었다. 일본은 초고령화 사회를 빠르게 인정, 실버인재센터와 NPO(비영리민간단체) 등 노인들의 취업 기회를 적극 촉진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도 이젠 고령화 사회를 인정하고, 저출산 대책과 함께 노인 일자리 정책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지역 특색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 은퇴 고령자를 적극 활용하자는 의미다. 이를 위한 정부의 국비 지원은 필수 불가결이다. 무너져가는 지역 경제를 위해, 노인을 위한 나라를 위해 정부의 대책이 필요한 때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