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형 통합늘봄’ 안착, 학부모와 소통부터

2024. 3. 7. 03: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시교육청과 부산시가 야심차게 도입한 부산형 통합늘봄 사업이 시작부터 삐걱거린다.

부산형 통합늘봄은 초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올 1학기부터 방과후 일반 보살핌(돌봄)과 학습형 보살핌을 함께 제공하는 정책이다.

정부가 마련한 초등학교 늘봄 사업은 올 2학기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달부터 한달간 통합늘봄을 시행하는 시내 304개 초등학교 현장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요 없단 이유로 고지않고 미개설
정책 취지 살리려면 디테일 강해야

부산시교육청과 부산시가 야심차게 도입한 부산형 통합늘봄 사업이 시작부터 삐걱거린다. 부산형 통합늘봄은 초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올 1학기부터 방과후 일반 보살핌(돌봄)과 학습형 보살핌을 함께 제공하는 정책이다. 문제가 된 것은 2시간 동안 놀이 체육 예술 등을 무상으로 교육받을 수 있다고 홍보했던 학습형 보살핌 프로그램이다. 일부 학교는 수요가 많지 않다는 이유로 아예 수업을 개설하지 않는가 하면, 이런 사실을 학부모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아 기존 다른 수업 신청 기회조차 놓치게 했다는 것이다. 유사 프로그램간 차이점과 장단점을 시행 주체인 일선 학교조차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도 터져 나온다.

부산형 통합 늘봄학교가 운영되고 있는 문현초등학교. 어린이들이 돌봄교실에서 종이접기를 배우고 있다. 국제신문 DB


현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방과후 프로그램은 이용 시간대나 학습 연계 여부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에 올해부터는 늘봄까지 더해졌으니 훨씬 더 복잡해졌다. 부모나 학생이 처한 상황에 따라 필요 수요가 천차만별이기에 어쩔 수 없는 일이긴 하다. 그럴수록 일선 학교는 각 프로그램의 특징을 제대로 파악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확한 수요에 근거해 효과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게 당연한 임무다. 어떤 과정을 이용해야 할 지 모르는 학부모가 학교에서조차 대답을 듣지 못하는 일이 벌어져선 곤란하다.

정부가 마련한 초등학교 늘봄 사업은 올 2학기부터 전국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부산시와 부산교육청이 연합해 부산만 1학기로 앞당긴 것이다. 그만큼 늘봄에 대한 부산 교육당국의 의지가 강하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로 부산은 늘봄을 전담하는 별도 시설을 마련하고 교사 부담을 줄이기 위해 행정지원본부를 만들었다. 심지어 늘봄 전용 학교 설립까지 추진 중이다. 부산시가 얼마전 정부의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건 이런 영향 덕분일 것이다. 늘봄이 아직 시행 초기이기 때문에 일부 혼란이나 혼선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학부모 입장에선 자녀의 방과 후 일정 하나가 어긋나면 오후 내내 돌봄 공백이 생기는 문제로 이어진다. 안 그래도 특수학교의 경우 전담 인력 부족 등으로 돌봄 시행이 한달 연기됐다. 부산 교육 행정에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저출생 고령화에 빠진 부산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를 지향한다. 아기를 낳아 기르는 전 과정에 행정 지원을 쏟아 궁극적으로는 도시 회생의 기회를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목표만 거창해서는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없다. 우선은 공짜 학습 프로그램인데도 신청자가 적은 이유부터 알아볼 필요가 있다. 무상 지원에 호응이 없다는 건 홍보가 덜 된 탓일 가능성이 크다. 기존 사업과의 차별성을 알려 취지가 살아나게 해야 한다. 부산시교육청은 이달부터 한달간 통합늘봄을 시행하는 시내 304개 초등학교 현장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관련 프로그램과 인력 확보 현황, 수요 등을 면밀히 살펴 보완하기 바란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