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다시 3%대 진입… 물가 전쟁 끝나지 않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새해 첫 달 2%대로 둔화됐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대에 진입한 것이다.
여전한 물가 부담에 한국을 포함한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점점 뒤로 밀리고 있다.
당분간 재정·통화정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운영돼야 할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바구니에 과일, 채소 하나 담기가 겁나는 상황이어서 가계의 체감 물가는 훨씬 더 가파르다. 지난해 8월부터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가던 과일 가격은 지난달 41.2% 급등했다. 32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이상 기후로 생산량이 급감한 탓에 사과와 귤은 70% 넘게 치솟았고 배, 감 등도 50% 안팎으로 올랐다. 채소값도 12.3% 뛰었다. 국제유가가 들썩이면서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은 5주 연속 상승세다.
문제는 이 같은 물가 불안 요인에 대응할 만한 카드가 마땅치 않아 고물가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농축수산물 할인을 지원하고 과일 직수입을 늘리겠다고 했지만, 이상 기후로 재배 면적이 줄고 있는 데다 사과 배 등은 병해충 유입 우려로 수입이 안 돼 체감 물가 하락으로 이어질지 미지수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협의체(OPEC+)의 감산 연장으로 국제유가가 연내 1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게다가 4월 총선을 의식해 유류세 인하 연장과 전기·가스요금 억제 등을 통해 미뤄둔 물가 인상 요인들이 잠재돼 있어 추후 인플레이션 압박은 더 커질 수 있다. 총선 이후 물가가 더 걱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총선을 겨냥한 여야의 무분별한 돈 풀기 경쟁은 물가를 한층 더 자극하고 서민 부담을 키우는 악순환을 가져올 우려가 크다.
여전한 물가 부담에 한국을 포함한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점점 뒤로 밀리고 있다. 아직 고물가·고금리·고유가 위기의 터널을 빠져나온 게 아니라는 뜻이다. 당분간 재정·통화정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운영돼야 할 것이다. 정치권도 눈앞의 인기에 급급해 돈 풀기 처방에 매달려선 안 된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연고 벼락공천’ 후보도 어리둥절… “동네사정 잘 몰라 공약 개발 포기”[정치 D포커스]
- 사과 한개 5000원… 과일값 32년만에 최대폭 올라
- ‘친문-비명’ 노영민-박광온 탈락… ‘대장동 변호’ 박균택 본선행
- 與, 3선 이상 교체율 16% 그쳐… 당내 “시스템 아닌 기득권 공천”
- 美 헤일리, 경선 포기 공식발표…트럼프 지지 선언은 안 해
- 전세사기 피해 1년, 끝나지 않는 고통
- 주1회 이상 술을 마시고 하루 10개비 이상 담배를 핀다
- 尹 “전공의 위주 병원구조 바로잡겠다”
- 野, 한동훈 고발에 與 “이재명 맞고발”… 네거티브 공방
- [단독]“대선 13개 열쇠중 바이든 4개-트럼프 2개 우세… ‘두개의 전쟁’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