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알리 어느새 韓시장 2위로 … 정부 이제야 현황 점검
알리, 11번가 이용자수 제쳐
신선식품까지 공격적 영업
국감서 가품 논란 질타받자
대관인력 늘려 리스크 관리
韓이커머스, 中공세에 역부족
정부, 대형마트 새벽배송 추진
유통산업법 개정 여부에 주목
중국 직구 앱 알리익스프레스(알리)가 국내 종합쇼핑몰 앱 2위에 올라섰다. 그동안 짝퉁과 불량 제품으로 소비자 피해가 발생했지만 정부가 느슨하게 대응하는 사이에 사실상 무혈입성한 셈이다. 정부가 범정부 태스크포스(TF) 구성에 나섰지만 뒷북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6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는 지난달 818만명의 사용자를 기록해 쿠팡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0월 G마켓을 제치고 국내 온라인 쇼핑몰 3위에 오른 뒤 불과 4개월 만에 11번가마저 제친 것이다. 테무도 4위에 자리하면서 한국 이커머스 시장이 중국 업체에 장악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직구 앱이 한국 시장에서 짧은 시간에 안착한 비결은 마케팅 비용을 대거 투입한 다양한 프로모션에 있다. 알리는 지난달 K베뉴에 들어오는 셀러를 대상으로 입점·판매 수수료를 받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K베뉴는 한국 셀러가 입점해 물품을 파는 오픈마켓으로 LG생활건강, 애경, 아모레퍼시픽 등 국내 주요 대기업과 중소업체가 제품을 판매 중이다. 이달부터는 K베뉴 판매 상품을 과일과 채소 등 신선식품으로까지 넓히며 상품 구색을 더욱 다양화했다.
알리는 보다 공격적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할 방침이다. 신선식품을 포함해 여타 카테고리의 상품기획자(MD) 채용 공고를 계속해서 내고 있다. 연내 국내 물류센터 건립과 B2B(기업 간 거래) 전용몰인 '알리익스프레스 비즈니스'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내 대관·홍보 전문가에게 직접 접촉해 이직 의사도 타진하고 있다. 한국 내 법률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모습이다. 채용 범위는 임원급부터 부장 등 시니어급 관리자까지 폭넓은 것으로 알려졌다.
알리가 대관과 홍보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한국에서의 사업 영역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업계의 반발이 커지고 정부와 언론이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한국 내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필요성도 커졌다. 지난해 10월 레이 장 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대표가 국정감사에서 '가품' 판매 문제와 관련해 질타를 받은 이래 알리는 불법·유해 상품을 판다는 지적을 지속적으로 받아왔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헤드헌터를 통하지 않고 중국 본사 차원에서 직접 연락이 왔다"며 "당장 업무에 투입될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이커머스 공세가 거세지자 한국 유통업계는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최근 롯데온이 일부 판매자의 판매수수료를 9%에서 5%로 인하했으며, G마켓은 익일배송 서비스인 '스마일배송'에 신선상품을 추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거액의 마케팅 비용을 앞세운 중국 이커머스와 맞서기엔 역부족이란 평가가 나온다.
정부도 부랴부랴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물론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대대적인 현황 파악에 나섰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파악이 끝나는 대로 TF를 만들어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단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을 추진해 대형마트가 새벽배송 등에 나설 수 있게 함으로써 국내 유통업계의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 방침이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오전 경기 김포시에 있는 SSG닷컴 물류센터(풀필먼트센터)를 찾아 "정부는 올해 1월 민생토론회에서 대형마트도 새벽배송을 할 수 있도록 영업 규제를 합리화하기로 했다"며 영업시간 제한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현재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대형마트는 매일 0시부터 오전 10시까지 영업을 할 수 없으며, 대형마트 오프라인 점포를 물류기지로 활용한 새벽배송도 불가능하다.
전문가들은 국내 유통업체의 역량 강화와 정부의 규제 개선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져야 중국 이커머스와 경쟁할 수 있다고 본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형마트 영업시간을 규제했던 것은 전통시장 보호 때문이었는데, 현재 중국 이커머스가 저가를 앞세워 국내 고객을 확대하고 카테고리를 넓혀 가는 상황에는 전혀 들어맞지 않는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해당 규제 때문에 가장 피해를 많이 보는 건 중소 유통업체라는 걸 인지하고 비정상의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문지웅 기자 / 박창영 기자 / 홍혜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멱살잡고 싶네요”…신상 털려 악플 시달린 공무원, 숨진 채 발견 - 매일경제
- ‘핫플’ 명동·강남도 다 제쳤다…‘월 1087만원’ 미친 임대료, 서울 상권 1위는 - 매일경제
- “전셋값에 허리 휠 지경”…18평 아파트에 월세 내고 사는 젊은층 - 매일경제
- “강남도 아닌데 줍줍 또 5000대1”…시세 수준에도 난리난 ‘이곳’ 어디 - 매일경제
- “제약사 영업맨, 의사 몸종인가”…병원 변기 뚫고 초밥 배달 ‘폭로’ - 매일경제
- “못생겼다”…‘뒤태혹평’ 싼타페 대신 쏘렌토? 4천만원대 ‘아빠車’ 혈투 [최기성의 허브車
- 기자들이 선택한 최고의 원픽 카페 브랜드는 어디? [기자평가단] - 매일경제
- “공통점은 뭘까요” …중대 고시반 동문 이재명-권성동 페북 설전 - 매일경제
-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무조건 이과?…올 정시 문과침공 60%까지 치솟은 학교 ‘어디’ - 매일경제
- 일본, 남자축구도 김일성 경기장 안 갈까? [2026월드컵 예선]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