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계 노벨상' 日 9명 vs 韓 0명…'철학'이 갈랐다
올해 수상자는 日야마모토 리켄
'유리 현관문' 판교 타운하우스 등
50년간 건축철학인 '투명성' 고수
韓은 철학보다 '싸고 빨리' 집착
네트워킹 없이 각자도생 분위기
"문화수준부터 높여야 수상 기회"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의 올해 수상자로 일본의 야마모토 리켄(79)이 5일(현지시간) 선정됐다. 미국 하얏트재단이 1979년 제정한 이 상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고 실력 있는 건축가만 받을 수 있는 최고 권위의 상이다. 일본인이 이 상을 받은 건 아홉 번째. 이로써 일본은 미국(8명)을 제치고 가장 많은 수상자를 배출한 국가가 됐다.
이 소식을 들은 한국 건축계에서는 탄식이 나왔다. 이번 수상으로 일본과 한국의 격차가 9 대 0까지 벌어졌기 때문이다. 야마모토가 누구길래 이 상을 받은 걸까. 일본은 왜 이렇게 프리츠커상을 많이 받을 수 있었나. 한국에서는 왜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 걸까.
판교 타운하우스도 설계
의외로 야마모토의 이름을 아는 한국인이 많다. 그가 설계한 아파트와 타운하우스가 국내에 있어서다. 경기 판교의 타운하우스인 월든힐스 2단지(2011년 입주)와 서울 세곡동 아파트 보금자리 3단지(2013년 입주)가 그의 작품이다. 하지만 두 건물 모두 완공 후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현관문을 유리로 만들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이는 파격적인 설계 때문이었다.
이런 논란이 뻔히 예상됐는데도 야마모토가 도발적인 설계를 밀어붙인 건 그의 건축의 핵심 철학이 ‘투명성’이어서다. 풀어서 설명하면 이렇다. 전통 건축물은 외부와 연결돼 있었다. 한옥으로 따지면 마당이나 마루 같은 공간을 통해 이웃과 인사를 나누는 식이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 주택은 ‘밀실’처럼 변했다. 그 탓에 이웃 간 소통이 실종되면서 공동체의 결속이 약화됐다. 그러니 공용 공간을 늘리고, 때로는 공간 일부를 투명하게 만들어서라도 사람들을 우연히 마주치게 해 서로 간의 소통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꼽히는 히로시마의 소방서(2000년)는 7층짜리 유리 상자처럼 생겼다. 소방관들이 일반 사무를 보거나 출동하는 모습을 밖에서도 훤히 들여다볼 수 있다. ‘소방관들의 영웅적인 모습을 지역사회가 잘 보고 감동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 반영됐다.
프리츠커상 심사위원회는 야마모토의 이런 철학과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 평가했다. “야마모토는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이어주는 건축가이자 사회 운동가”라는 평이 뒤따랐다.
“한국 공공 건축, 아직 멀었다”
야마모토는 니혼대 건축과를 졸업한 뒤 도쿄예술대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받고 1973년 건축사무소를 연 국내파다. 일본인 최초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단게 겐조를 필두로 일본 건축계가 확 튀는 거대한 건축물을 쏟아내는 와중에도, 그는 일찌감치 자신이 정립한 건축 철학을 50여 년간 고수해왔다. 최근 하얏트재단은 야마모토처럼 꾸준히 자신만의 철학으로 사회에 영향을 끼쳐온 건축가에게 프리츠커상을 주는 추세다. 지난해 수상자인 데이비드 치퍼필드와 2022년 수상자 프란시스 케레도 공공 건축에 대한 기여를 인정받았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한국인 건축가의 프리츠커상 수상은 한참 멀었다는 평가다.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건축물 대부분은 공공 건축인데, 한국의 공공 건축 관행은 엉망이라는 게 국내외의 일관된 평가다. 한 건축가는 “서울 한 구청의 건축 공모전에 설계가 당선된 적이 있는데, 담당 과장이 ‘구청장 취향대로 설계를 바꿔 달라’고 해서 황당했다”며 “정치인이나 지방자치단체장의 치적이 될 수 있도록 겉보기에 멋지면서도 무조건 싸고 빠르게 지어달라는 요구가 많다”고 토로했다.
근본적인 원인은 “한·일 양국 간 건축을 바라보는 철학의 차이”(정진국 한양대 건축학부 명예교수)에 있다는 분석이 많다. 화려한 건축물은 사치로 여겼던 유교 전통, 빨리 많이 짓는 게 목표였던 고도 성장기 등의 영향으로 아직도 건축을 예술로 보지 않는 사회적 분위기가 첫 번째다. 두 번째는 한국 건축계 특유의 폐쇄적인 분위기다. 정진국 교수는 “일본 건축가들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적극적이고,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분위기가 강하다”며 “반면 한국 건축가들은 세계 무대에서의 네트워킹과 트렌드 흡수 능력이 떨어지는 데다 학연 등으로 끼리끼리 뭉치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유현준 건축가는 “프리츠커상은 단순히 한 건축가가 받는 상이라기보다 그 나라의 문화 수준에 주는 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성수영/안시욱 기자 syoung@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음식 만들려면 칼 써야 하는데"…횟집 사장님 뿔났다 [이미경의 옹기중기]
- "집값 떨어지면 위험"…한은, 2030 영끌족에 '무서운 경고'
- '3개월 동안 1200억' 무방비로 당했다…유재석도 '분노'
- "비싸도 산다"…400만원 넘는 '꿈의 가전' 폭발적 반응
- "정말 미친 짓"…AI 로봇 '피규어 01'에 전세계 '충격' [영상]
- 500억 신화→풍비박산…돌아온 '장사의 신' 충격 근황
- "다이소 가면 천원인데…" 발렌시아가 430만원 팔찌 '충격'
- '김옥빈 동생' 채서진 결혼, 남편은 비연예인 [전문]
- 에스파 카리나 조롱을?…오마이걸 전 멤버 진이 "표현 실수"
- "연봉 오르자 '상사랑 바람피운 거 아냐?' 남친 농담에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