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한' 사카모토 준지 감독 "배울 점 많은 봉준호와 24년째 친구" [N인터뷰]①
고레에다 히로카즈 '괴물' 제치고 제97회 키네마준보 베스트10 '1위'
(서울=뉴스1) 정유진 기자 = 이와이 슌지와 고레에다 히로카즈 등 한국 관객들이 사랑하는 일본 감독들이 많다. 이 감독들과 동년배인 사카모토 준지(65) 감독은 상대적으로 국내 관객들에게는 낯설지만, 일본 내에서는 '일본 뉴웨이브 대표 거장'이라 불리며 앞서 언급한 감독들 못지 않게 유명하다. 영화 '팔꿈치로 치기'(1989)로 요코하마영화제 신인감독상 등을 받으며 데뷔한 그는 '복서 조'(1995) '멍텅구리 - 상처입은 천사'(1998) '얼굴'(2000) 등의 대표작들로 이름을 알렸다. 또한 2002년에는 1973년 도쿄에서 납치된 김대중 전 대통령 사건을 다룬 영화 'KT'로 우리나라에서도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의 신작 '오키쿠와 세계'는 일본에서 영화 '괴물'을 제치고 제97회 키네마준보 일본영화 베스트10 1위를 차지한 작품이다. '괴물'은 같은 목록에서 7위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키네마 준보는 1919년 창간돼 일본에서 최고의 권위를 인정 받는 영화 전문 잡지로 매해 영화 베스트10을 선정해 발표한다. 키네마준보의 베스트10은 일본 아카데미상, 블루리본상,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등과 더불어 일본 영화계를 대표하는 영화 상이다.
지난달 21일 개봉한 '오키쿠와 세계'는 19세기 에도 시대, 몰락한 사무라이 가문의 외동딸 오키쿠(쿠로키 하루 분)와 인분을 사고파는 분뇨업자 야스케(이케마츠 소스케 분)와 츄지(칸이치로 분), 세 남녀의 사랑과 청춘을 담은 극 영화다. 총 7개의 짧은 장으로 이뤄진 이 영화의 키워드는 '순환'이다. 분노업자들이 냄새를 참으며 열심히 퍼나른 인분은 들로 밭으로 돌아가 음식이 되고, 그 음식은 사람들의 입으로 들어가 다시 인분이 돼 나온다. 돌고 도는 삶이지만, 그 속에는 매번 다른 고통이 있다. 에도 시대의 문화 속에서 천대 받는 청춘들은 각자의 상실과 시련을 겪게 되지만, 순수한 사랑으로 이것을 견뎌내며 더 넓은 '세계'를 살아낸다.
지난 2월 말, 영화의 개봉을 앞두고 사카모토 준지 감독은 이 작품의 프로듀서이자 미술감독인 하라다 미츠오와 함께 내한했다. 하라다 미츠오는 '얼굴'(2000) '와글 와글 시모키타자와'(2000)로 마이니치 영화 콩코르 미술상, '북쪽의 카나리아들'(2012)로 일본 아카데미상 미술상, '행복한 사전'(2013) '일일시호일'(2018)로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미술상을 수상한 실력자다. 두 사람은 각별한 사이인 봉준호 감독과 GV를 하는가 하면, 배우 유지태와 만나 행사를 치르기도 했다.
사카모토 준지 감독과 만났다.
-내한 후 봉준호 감독과 GV를 했는데, 어떤 시간을 보냈는지 궁금하다.
▶나이는 다르지만, (봉준호와) 알고 지낸 지 벌써 24년이 됐다. 24년 전에 처음 만났고 친구를 재회하는 기분으로 행사했다. 한국에 오면 봉준호 감독과 항상 같이 식사하고 또 일본에 봉준호 감독이 오면 항상 술도 같이 마시고 식사도 하는 세월을 보내왔다. 나는 일본 후배들보다 한국 후배 감독들하고 훨씬 친한 것 같다. (웃음) 그리고 봉 감독 같은 경우는 나보다 어리지만 배울 점이 많기 때문에 존경하고 있다.
-봉준호 감독 외에도 친한 한국 후배 감독들이 있는 것인가.
▶최근의 상황을 말씀드리면 김한민 감독과도 여러 차례 식사했고 정윤철 감독님하고도 교류가 쭉 있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납치 사건을 다룬 'KT' 같은 영화도 찍었고, 한국 감독들과도 친분이 있고, 한국과의 인연이 남다른 것 같다.
▶처음 한국 영화인들과 함께 일을 했었던 것이 한일 합작 영화 'KT' 때였는데 그때는 저뿐만 아니라 일본 영화 스태프, 한국 영화 스태프가 함께 공동으로 하나의 작품을 만들었던 경험이다. 그때 역시 한국 영화인들을 굉장히 가깝게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고 그다음에 2011년에 DMC 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 유지태를 주연으로 한 영화를 연출했다. 그때 모든 스태프분이 한국분들이었는데 일에 임하는 자세와 프로 의식을 보고 감탄했고 그렇게 또 한국을 가깝게 느끼고 인연을 갖게 되는 기회들이 종종 있었다.
한국 스태프들하고도 공동 작업을 했지만, 태국에 가서 태국 영화인들과 공동 작업을 하기도 하고, 러시아 영화인들과 작업한 적도 있다. 또 쿠바에서 쿠바 영화인들과 공동 작업한 적도 있다. 영화 만들 때 도구는 같지만, 나라마다 일을 대하는, 제작 방식이라든지 영화 제작 방식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데 그 갭을 즐기는 편이다. 내가 그동안 해왔던 방식을 상대에게 강요하지 않고 상대방의 영화를 만드는 문화, 영화를 만드는 생각들을 받아들이고 함께 만들어 나가는 공동 작업을 좋아하는 편이다. 미국 쪽에서도 작업을 한 기억이 있다.
공동작업을 좋아하는 이유는 변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언제나 저는 변화하고 싶고, 한국 스태프들과 일을 하면서 변화할 수 있는 자극을 받았다.
-전작인 '언나더 월드'에서도 '너의 세계 나의 세계'라는 대사를 영화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세계'에 역점을 두고 얘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세계라는 단어, 타인의 세, 나의 세계에 대해서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나.
▶ 그렇다. 나는 모든 것에 정답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저마다 자신이 태어난 환경에서 주입되는 개념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때로는 버릴 용기도 있다고 생각한다. 나 스스로 가진 고집이라든지 고정관념을 깨나갈 필요가 있다, 작은 커뮤니티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든다고 하더라도 그 당시에 벌어지고 있는 세계에 대해서 느끼면서 영화를 만들고 있다. 아무리 작은 영화를 만들어도 동시대적으로 일어나는 일을 머릿속으로 생각하면서 만든다. 지금도 어떤 나라에서는 내분이 있고, 어떤 곳은 위기적인 상황에 처해있기도 하다. 이런 시대상이라는 것을, 그것이 직접적으로 내가 만드는 영화의 내용으로 반영하지 않더라도 항상 의식하면서 영화를 만든다.
이번에는 사극인데 그동안 사극에서 세계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 적은 없었을 거다. 최근에 3년간 걸쳐 이 영화를 만들었는데 그 사이 팬데믹 시기가 있었다. 팬데믹 시기에 이 영화를 만든 게 세계라는 것을 영화에 담게 된 배경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팬데믹 시기에는 내일 우리 이 세계는 어떻게 돼가고 있을까 하는 위기감을 항상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나뿐 아니라 여러분도 마찬가지다. 그런 가운데 만든 영화이기 때문에 세계라는 것을 의식하고 만드는 영화가 된 것 같다, 디스토피아적인 분위기가 넘쳐나는 가운데 희망을 담고 싶은 생각도 있었다, 어떤 위인이 한 말 중에 '내일 세계가 끝나도 나는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말이 있는데 그 말을 생각하면서 그런 심정으로 영화를 만들었다.
<【인터뷰】②에 계속>
eujene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4인조 강도, 일가족 4명 생매장…뺏은 돈은 겨우 20만원
- 8만원 파마 후 "엄마가 사고 났어요"…CCTV 찍힌 미용실 먹튀 남성[영상]
- '상의 탈의' 나나, 전신 타투 제거 모습 공개…"마취 크림 2시간"
- 100억대 재산 잃고 기초수급자로…한지일 "11평 집에서 고독사 공포"
- 알바女와 결혼한 카페사장, 외도 즐기며 '월말부부'로…"이혼땐 재산 없다"
- '하루 식비 600원' 돈 아끼려 돼지 사료 먹는 여성…"제정신 아니네"
- 김구라 "조세호가 뭐라고…내가 X 싸는데 그 결혼식 어떻게 가냐"
- 최준희, 母최진실 똑닮은 미모…짧은 앞머리로 뽐낸 청순미 [N샷]
- '무계획' 전현무, 나 혼자 살려고 집 샀다 20억원 벌었다
- 음식에 오줌 싼 아이, 그대로 먹은 가족…"○○ 쫓는다" 황당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