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서 발생하는 ‘초로기 치매’…특징과 대처법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흔히 치매는 노인성 질환으로 생각한다.
초로기 치매는 그 원인을 기준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알코올성 치매로 나눌 수 있다.
초로기 치매는 일반적인 노인성 치매와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진단도 어렵다.
이어 "초로기 치매는 노인성 치매와 달리 초기증상이 일반적인 치매증상과 다르고, 초기에는 뇌 위축이 노인성 치매보다 경미해 구조적 뇌 영상 검사(MRI)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힘든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인성 치매보다 뇌세포 손상 속도 빨라
조기진단 중요…뇌건강 지키는 운동 생활화
흔히 치매는 노인성 질환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요즘은 ‘영(Young)츠하이머’라는 말이 생겼을 정도로 30~50대 젊은 치매환자도 적지 않다. 실제로 중앙치매센터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22’에 따르면 전체 치매환자 97만명 가운데 65세 미만의 치매환자는 약 8만명으로 9%를 차지하며 추세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65세 미만에 발병하는 ‘초로기 치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초로기 치매란?=65세 미만 나이에 발병하는 초로기 치매는 노인성 치매보다 뇌세포의 손상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게 특징이다. 이 때문에 무엇보다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초로기 치매는 그 원인을 기준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알코올성 치매로 나눌 수 있다. 이 가운데 알츠하이머 치매가 원인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 그 중에서도 가족성 알츠하이머(유전성) 치매가 약 2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전두측두엽 치매와 같이 노년기 치매에서는 발병 빈도가 적은 치매가 초로기 치매에서는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전두측두엽 치매는 뇌의 전두엽 또는 측두엽이 알 수 없는 이유로 퇴화하는 유전성(자발성) 질환이다.
초로기 치매는 일반적인 노인성 치매와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진단도 어렵다. 치매의 주요 증상인 기억력 저하가 아니라 ▲성격변화 ▲이상행동 ▲판단력 또는 실행능력 저하 ▲언어장애 등 다양한 증상이 첫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이 치매라 의심하지 않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흔하다. 또 자신이 젊다는 이유로 진단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병증이 상당히 진행된 뒤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강성훈 고대구로병원 신경과 교수 “젊은 나이일지라도 중요한 사항을 잊거나, 능숙하게 하던 일을 잘하지 못하거나, 예전보다 감정기복이 심해지고 쉽게 화가 나는 등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신경과 전문의와의 진료를 통해 원인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초로기 치매는 노인성 치매와 달리 초기증상이 일반적인 치매증상과 다르고, 초기에는 뇌 위축이 노인성 치매보다 경미해 구조적 뇌 영상 검사(MRI)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힘든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대처법은?=초로기 치매의 치료는 원인에 맞춰 약물치료를 진행한다. 또 ▲경도의 우울 증상 ▲배회 증상 ▲반복적인 질문 등은 비약물치료에 반응을 보일 수 있다.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는 환경적‧대인관계적인 요소들을 면밀히 파악해 환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감소시키고, 환자에게 익숙한 환경을 유지하며, 환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편안한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게 중요하다.
초로기 치매의 예방법은 다른 치매와 특별히 다르지 않다. 최고의 치료법은 예방에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요하다.
강성훈 교수는 “초로기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운동을 생활화하고 자주 걷는 습관을 갖는 게 좋다”며 “운동은 뇌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뇌신경을 보호함으로서 뇌기능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뇌가 제 기능을 발휘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제때, 골고루, 적당히 먹는 것”이라며 “생선‧채소‧과일 등 항산화 물질과 뇌 건강에 좋은 음식을 매일 먹을 경우 치매가 발생할 확률이 30% 낮아진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