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톡] 플랫폼 혁신 막는 총선발 규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초 플랫폼 업계는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시장지배적 플랫폼을 사전규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이 법으로 네이버, 카카오, 쿠팡, 배달의민족 등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들은 리스크 대응에 집중했다.
다행히 지난달 공정위가 플랫폼법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뜻을 밝히면서 업계는 한숨 돌리는 분위기다.
하지만 플랫폼 업계 규제 리스크는 계속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플랫폼 업계는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추진한 '플랫폼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 때문이다. 시장지배적 플랫폼을 사전규제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이 법으로 네이버, 카카오, 쿠팡, 배달의민족 등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들은 리스크 대응에 집중했다. 다행히 지난달 공정위가 플랫폼법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뜻을 밝히면서 업계는 한숨 돌리는 분위기다.
하지만 플랫폼 업계 규제 리스크는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의 배달 수수료 논란이 불거졌다. 외식 물가가 오른 데에는 배달비 상승이 주요 원인이라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반은 맞는 말이다. 외식업주가 높은 물가를 '고객 부담 배달비'로 전가하면서 배달비 상승을 부추겼기 때문이다. 배민, 쿠팡, 요기요 등 배달업체들은 정작 2021년 이후 배달 수수료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배달업계는 최근 배달 수수료 문제가 다시 불거진 것이 의아하다는 반응이다.
이 같은 플랫폼 규제 기류는 올해가 총선의 해라는 점과 무관치 않다. 선거가 있는 해에는 정치권에서 의례적으로 '서민, 소상공인을 위협하는 플랫폼'이라는 프레임을 꺼내든다. 표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동안도 선거를 앞두고는 공익보다는 큰 이익단체의 목소리가 더 커지는 일이 반복되곤 해왔다.
이런 와중에 유념해야 할 것은 우리나라가 미국을 제외한 토종 플랫폼 기업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사실상 유일한 국가라는 점이다. 글로벌 플랫폼 산업은 구글, 메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거대 플랫폼 기업이 장악력을 높이고 있다. 국내 플랫폼 기업들은 이들과 국경 없는 경쟁을 벌여야 한다.
문제는 규제가 토종 플랫폼 기업의 혁신 역량을 훼손할 수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한 기업의 생사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정치권이 섣불리 생각해선 안 된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 美반도체 투자 비상…건설비 급증
- 여야, 후보 확정 200곳…당 주류 대거 총선 본선행
- 현대차그룹, 자체 개발 '초급속 충전기' 본격 보급
- [IT메가비전 2024] 범부처 “AI 규제 완화·생태계 육성 총력”
- 美 퇴역 장교 '우크라女' 사칭에 군사비밀 넘겼다
- 더존비즈온, '위하고'에 AI 비서 내재화···전국서 시연
- KG모빌리티, 튀르키예서 '토레스 EVX' 출시
- 서울시, 지자체 최초 제로 트러스트 기반 원격근무시스템 도입
- 전공의 집단사직 여파, 전국 병원 축소 운영 시작…간호사는 무급휴가 권장
- 지난달 수입차 판매 25% 줄었다…1위는 BM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