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수소 앞서가면 다 따라올 것...눈치 볼 필요없다”

2024. 3. 5. 11: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회성 무탄소연합회장 인터뷰
“정부 지원으로 수소 산업 키워
한국이 무탄소 표준 선도해야”
이회성 무탄소(CF)연합 회장이 지난달 21일 오후 서울 중구 무탄소(CF)연합 사무실에서 헤럴드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상섭 기자

“수소는 탄소중립을 위해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전력이 못 채우는 부분을 수소가 해야 한다. 수소는 무탄소에너지(CFE·Carbon Free Energy)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고, 산업적인 측면에서 탈탄소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를 선언한 지 6개월, 산업계에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방안으로 ‘수소’를 낙점하고 생태계 형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실제 두산에너빌리티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액화수소 생산을 시작한 데 이어 현대자동차가 2027년까지 수도권에 수소버스를 1000대까지 늘리기로 하는 등 저마다 수소산업 활성화와 저변 확대에 팔을 걷고 나섰다.

최근 본지와 인터뷰한 이회성 무탄소(CF)연합 회장은 “기업들이 수소에 집중하는 것은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에너지를 쓴다는 것은 결국 전기 아니면 화석에너지인데, 탄소중립으로 화석에너지를 쓸 수 없게 되면서 부족한 에너지 수요를 채워주는 것이 수소”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석유화학, 철강, 시멘트 등 중공업 분야를 기반으로 성장해온 우리나라로서는 수소산업으로의 이행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소의 역할은 화석에너지를 대체하는 것인데 특히 주로 철강, 시멘트, 석유화학 등의 산업분야에서 대체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도 마찬가지”라며 “앞으로 수소 생태계를 키우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도 상당히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회장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의장 8년, 부의장 7년을 역임하고 에너지경제연구원 초대원장, 세계에너지경제학회 회장 등을 지낸 에너지·기후변화 분야의 전문가다. 이 같은 전문성을 인정받아 지난해 10월 출범한 CF연합 초대 회장에 임명됐다.

CF연합은 윤 대통령의 지난해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 제안에 따라 만들어진 오픈플랫폼이다. 당시 윤 대통령은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자력, 수소,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등을 모두 포함하는 ‘무탄소에너지(CFE)’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 세계적 인지도를 가진 ‘RE100’의 경우 재생에너지로 사용전력의 100% 충당을 요구하고 있지만, 재생에너지만으로는 탄소중립 실현이 어렵다는 의미다.

이 회장은 “현재 탄소배출의 70%는 비선진국에서 나오고 있는데 갑자기 재생에너지만 100% 쓰라고 하면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다”며 “기후변화 이슈의 80%가 결국은 에너지 문제로, 돈과 기술이 얼마만큼 투입되느냐가 관건”이라고 했다.

결국 탄소중립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원전), 수소, CCUS 등을 모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이 회장의 주장이다.

특히, 수소의 역할이 중요한 만큼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통해 수소산업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현재 수소산업은 모든 나라가 출발선에 서있는 수준으로, 국내서도 수소 인프라 부족, 높은 생산 단가 등을 산업 활성화의 걸림돌로 꼽힌다.

이 회장은 “정부가 많은 보조금과 연구개발(R&D)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우리 기업들의 애로사항은 다른 나라들도 똑같이 겪고 있기 때문에 유럽, 미국, 일본 등은 정부가 수소 보조지원제도를 만들어서 보조금을 줘가며 적극적으로 산업을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형성 초기에는 많은 자금과 새로운 기술이 투입돼야 하기 때문에 개별 기업이 이를 감당할 수 없다”며 “정부가 주도해 시장을 선점하는 국가들이 앞서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또 “수소가 필요한 분야는 주로 제조업, 중공업 등 기간산업 위주로, 한국이 앞서가면 모든 나라들이 다 따라 올 수밖에 없다”며 “향후 국제 교역이 일어날 것을 염두에 두고 각국 정부가 서로 합의하고 상호 인정하는 수소 배출 기준, 수소 인증 체제 등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회장은 CF연합 회장으로서의 목표로 ‘한국이 무탄소 경제에서 세계 최고가 되도록 하는 것’을 제시했다. 세계적인 탈탄소 흐름이 우리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것이란 확신도 내비쳤다.

CF연합 외연 확장에도 나선다. CF연합은 올해 주요국이 참여하는 ‘글로벌 작업반’을 출범하고 올 하반기부터 해외에도 본격적으로 문호를 개방할 계획이다. 다만, 아직까지 CF연합에는 국내 기업·기관 20곳이 참여하고 있으며, 해외기업·기관 등은 없다.

이 회장은 “ 한국이 기술력과 자본력, 경제력이 있는 나라인데 우리의 제안에 다른 나라가 동의할까, 얼마나 호응을 할까, 몇 나라나 참석할까 지레 걱정하고 눈치 볼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유럽이 탄소국경조정세를 시행하려고 할 때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원자력 르네상스’를 선언할 때 다른 나라 눈치를 보는 경우를 본 적이 있나”고 되물으며 “우리가 이니셔티브를 제안하고 각국과 룰(rule)을 만들고 오히려 선도적으로 나갔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더욱 크다”고 강조했다. 정윤희 기자

yuni@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