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절단 위기 50대, 군 병원 수술...민간인 누적 125명 진료
양쪽 발목 잃을 위기였던 50대, 군 병원서 수술
"다리마다 군의관 2명씩 수술"…중환자실 회복 중
[앵커]
의료계 집단행동 이후 응급실을 개방한 군 병원에서 현재까지 민간인 125명이 진료를 받았습니다.
이 가운데는 사고로 양쪽 발목을 잃은 위기에 있던 50대 남성이 수술을 받고 회복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낙상사고로 고관절 골절상을 입은 80대 남성은 지난달 20일 국군수도병원에서 수술을 받았습니다.
의료계 집단행동 시기에 맞물려 치료를 받지 못할 뻔 하기도 했지만, 이젠 상태가 호전돼 일반병실로 옮겨집니다.
[이호준 / 국군수도병원 중환자실 실장 : 수술 잘 됐고, 환자분 여러 가지 고령의 나이 고려해서 저희가 속도 맞춰서 재활치료 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상급병원 5곳을 전전하다 급히 군 병원을 찾았던 가족들은 그저 이 상황이 다행스럽다고 말합니다.
[임세호 / 입원환자 가족 : 최선을 다해주신 군의관, 간호장교 선생님들 모두 감사드리고요. (의료진이) 본인 아버지처럼 보살펴주셔서 저희 아버지께서 건강하게 지금 재활까지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군 병원에서 응급 진료를 받은 민간인 가운데는 근무 중 사고로 양쪽 발목이 거의 절단돼 이송된 50대 남성 환자도 있었습니다.
한쪽 다리마다 군의관 2명씩, 모두 4명이 10시간 넘는 수술을 한 끝에 지금은 중환자실로 옮겨져 회복하고 있습니다.
[안주석 / 국군수도병원 정형외과 군의관 : 다치고 나서 다른 상급종합병원에 (치료) 의뢰가 됐는데 거기서 치료가 어려운 상태여서 저희한테 의뢰가 왔었고. 현재 치료 중이지만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어서….]
군 병원 응급실이 개방된 지난달 20일 이후 2주 동안 진료받은 민간인은 모두 125명.
국군수도병원에서 58명, 대전병원 26명, 서울지구병원 8명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전하규 / 국방부 대변인 : 외래 진료를 확대하거나 군의관 병력 파견하는 그런 부분에 대해서 관련 부처와 협의를 지금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의료공백 상황이 길어질수록 기존 군 장병에 더해 민간인까지 진료해야 하는 군 의료진의 피로도도 커질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군 내부 고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YTN 최민기입니다.
YTN 최민기 (choim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다시 따면 그만?...엄격해진 '의사 면허' 재취득 [앵커리포트]
- "의료대란 발생한다면, 전쟁에 준하는 어려움 겪을 수도..." [Y녹취록]
- 봄철 조개류 잘못 먹으면 설사, 마비, 기억상실까지
- 구미 아파트 960여 가구 정전…알고보니 '쥐 때문에'
- 38만 명 이용하는 말레이시아 지하철역 이름은 '삼성 갤럭시'역
- [속보] 대통령 구속영장 심사, 내일 오후 2시 서부지방법원
- "전국민 25만원 바람직하지 않다"...이창용, 이재명 제안 반대 [지금이뉴스]
- [속보] 대통령 측 "대통령, 구속 전 피의자 심문 불출석"
- [속보] 윤 대통령 "국민 여러분 뜨거운 애국심에 감사"
- 윤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부당함 밝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