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공의 면허정지 절차 돌입, 의료 공백 최소화 만전 기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어제 전공의를 포함한 의료계의 집단행동에 대해 엄정하고 신속하게 조치할 방침임을 다시 한 번 밝혔다.
지난 주말까지 복귀하는 전공의에 대해서는 선처하겠다고 했던 정부가 전공의들의 복귀가 미진하자 예정대로 법과 원칙대로 절차를 밟기로 한 것이다.
의사들의 집단행동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는 의료 공백 최소화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정부가 미복귀 전공의에 대해 면허정지 절차를 밟기로 한 것은 더 이상 의료계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뜻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그간 이번만큼은 의대 정원을 확대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의료개혁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줄곧 밝혀 왔다. 의료계 단체들과 무려 28차례나 논의를 해 오면서 그들이 요구한 지역·필수의료 확대를 위해 2028년까지 10조원 이상의 재정투자를 약속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기에는 의료수가 인상 등 의료계가 요구한 다양한 개혁안도 포함됐다. 이런데도 전공의들이 정부의 일방적 결정이니 의대 증원을 원점에서 재검토하라고 요구하는 건 어불성설이다. 4년 전과 마찬가지로 “정부가 이번에도 의사들을 이길 수 없다”고 믿는다면 큰 오산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어제까지 복귀한 전공의는 1000명 안쪽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진다. 8000명 가까이가 근무지를 이탈해 돌아오지 않고 있다. 서울대병원 등 빅5 병원은 말할 것도 없고 지방 상급병원도 과부하가 걸린 지 오래다. 정부가 미복귀 전공의에 대해 면허정지 절차를 밟기로 한 것은 더 이상 의료계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뜻이다. 전공의들이 근무지로 복귀하지 않으면 최소 3개월의 면허정지 처분을 받는다. 수련 기간을 채우지 못해 전문의 자격취득 시기가 1년 이상 늦춰지는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전공의들은 속히 의료 현장으로 복귀해야 마땅하다. “조직폭력배, 다단계 조직보다 더한 집단”이라는 환자들 비판이 들리지 않나. 의사의 책무는 히포크라테스 선서에도 나오듯 국민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일 아닌가.
정부가 어제까지 전국 40개 의과대학에 2025학년도 증원 수요를 받은 결과 2000명이 훨씬 넘는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해 11월 1차 수요 조사 때 받은 2151∼2847명과 큰 차이가 없다. 의사들이 반대하는 2000명 증원 숫자를 웃돌고 있는 것이다. 의사 1명 키우는 데 10년 이상 걸리는 점을 감안해 정부는 대학 수요 신청을 충분히 반영해 주고 이 문제를 조속히 매듭짓기 바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