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 특별보호구역 ‘우이령길’ 전면 개방 시작…외래종 침투 우려
멸종위기종 서식 ‘생태적 가치’
환경단체 “성급한 개방 우려”
북한산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우이령길의 평일 탐방예약제가 4일부로 폐지됐다. 환경단체들은 탐방예약제가 후퇴되면서 무분별한 탐방이 이뤄지고, 특별보호구역 내 생태계가 교란되는 등 악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국무조정실 규제혁신추진단의 권고에 따라 이날부터 평일에는 예약 없이 북한산 우이령길을 탐방할 수 있도록 평일 예약제를 폐지했다. 다만 방문객이 많은 주말과 단풍철 성수기인 가을철(9~11월)에는 예약제를 유지한다. 기존에는 평일, 주말 상관없이 하루 1190명만 예약이 가능했다.
우이령길은 서울 강북구와 경기 양주시 사이 북한산국립공원 중앙부를 관통하는 생태축이자 북한산국립공원 내에서는 유일하게 예약탐방제를 시행하는 곳이다.
이번 평일 탐방예약제 폐지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주말, 공휴일, 단풍철 성수기에 예약탐방제를 유지한다고 해도 사전예약제가 명백히 후퇴한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산과자연의친구 우이령사람들’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우이령은 특별보호구역이며 북한산국립공원의 핵심지역을 관통하는 길로, 북한산 둘레길이나 도봉산 둘레길로 만들 곳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국립공원공단은 결론도 나지 않은 3차례의 민관협의회(공단, 경기 양주시, 서울시 강북구, 환경단체 등 참여) 회의 이후 ‘평일 전면 개방, 주말 공휴일 예약제 운영’이라는 성급한 결정을 내놓았다”고 지적했다. 국립공원공단이 국무조정실의 규제 완화 압력에 굴복하면서 설익은 조치를 내놨다는 것이다.
환경단체가 강하게 반발하는 것은 우이령길이 서울·경기 북부 내 생태적 중요성이 큰 지역이기 때문이다. 국내 국립공원 중 가장 훼손이 심한 북한산국립공원 내에서는 그나마 상태가 양호한 곳으로, 서울과 경기 북부의 ‘마지막 허파’로 불리기도 한다. 멸종위기 포유류 삵이 서식할 정도로 생물다양성이 높은 곳이기도 하다.
특히 전문가들의 정밀 모니터링에서는 현재의 탐방객 수만으로도 우이령길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는 외래종 식물들이 유입되고 있음이 확인된 바 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윤석열, 국방비서관 종이 전달받고 언성 높였다···격노 전부터 ‘채상병’ 보고받았나
- 특검, 구속 후 두번째 소환 통보···이번에도 ‘건강’ 이유로 불출석하나?
- [속보]‘반구천 암각화’ 한국 17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침수 문제 해결은 과제
- “이 대통령 ‘시진핑, 경주 APEC 올 것’이라고 말해”···정규재 TV가 발언 소개
- 이 대통령, 오겹살 번개 외식···직접 ‘소맥’ 타 직원들에 “금요일 저녁, 행복하게!”
- [단독]‘김건희 집사’, 코바나컨텐츠 전시회 당시 ‘IMS 법인카드’ 100만원 결제
- 의대 학장들 “의대생들 복귀 원하면 조건 없이 돌아와야”···학사 정상화 원칙 의결
- 미 국무부, 외교관·공무원 1353명에 해고 통보
- 강훈식 비서실장 “내각 인선해보니 대통령 눈 너무 높아”
- 이 대통령 ‘민생회복 소비쿠폰’ 시행 앞두고 “응원 마음으로 외식 동참해 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