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실의 서가] 현대 미술 비평, 철학을 입다

박영서 2024. 3. 4. 18: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미술의 난해함에 난색을 표하는 이들이 많다.

그는 회화, 조각부터 디지털 미디어 아트에 이르는 현대미술 작품들을 사유의 대상으로 삼아 예술의 의도와 욕망, 그리고 내적 본질을 묻는다.

1976년 저명한 비평지 '옥토버'(October)를 공동 창간했으며 수십 년간 현대미술 담론을 주도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절린드 크라우스
최종철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

현대미술의 난해함에 난색을 표하는 이들이 많다. 원칙·관습에 대한 무분별한 거부, 정치적 구호의 남발 속에서 예술은 자신의 본질을 망각하고 갈수록 사람들과 동떨어지고 있다. 로절린드 크라우스(1941∼ )는 이러한 상황에 '성전'(聖戰)을 선포하고 예술의 활로를 모색해 온 '철학적' 미술 비평가다.

그는 회화, 조각부터 디지털 미디어 아트에 이르는 현대미술 작품들을 사유의 대상으로 삼아 예술의 의도와 욕망, 그리고 내적 본질을 묻는다. 그의 비평은 초반에는 매체의 물질성에 편중했던 모던 미술 비평에서 벗어나 포스트모던 미술의 분열적 작업들을 다양한 해석으로 재평가했다. 단순히 시대의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새로운 실천의 구조적 질서를 파악하려 노력했다. 그러다 포스트모던 미술이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지우고 '모든 것은 예술이다'라는 공허한 구호에 빠지자 모더니즘으로 되돌아가 그 속에 억압된 욕망과 모순을 불러냈다.

책은 구조주의와 현상학, 정신분석학을 넘나드는 크라우스의 복합적인 사유를 열 가지 키워드로 알기 쉽게 정리했다. 크라우스가 구조주의의 '기호 사각형'이나 자크 라캉의 'L 도식', 조르주 바타유의 '분변학' 등을 어떻게 창의적으로 활용했는지 상세히 살필 수 있다. 아울러 오귀스트 로댕, 잭슨 폴록 , 마르셀 뒤샹, 피트 몬드리안 등 이름은 친숙하지만 작품은 난해한 작가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만날 수 있게 한다.

크라우스는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다. 1976년 저명한 비평지 '옥토버'(October)를 공동 창간했으며 수십 년간 현대미술 담론을 주도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저술들은 지난 반세기 동안 현대미술의 변화와 발전을 해설하는 가장 정교한 이론적 공헌으로 평가된다.

지은이 최종철은 이화여자대학 미술사학과에서 현대미술을 담당하고 있는 교수다. 2012년 미국 플로리다대에서 매체 미술로 미술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크라우스의 '언더 블루 컵'(2023)을 번역했으며, 포스트미디엄과 관련한 다수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박영서 논설위원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