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못 갚는 대출 1년새 50%↑…20대 젊은사장 연체율 1위

유덕기 기자 2024. 3. 4. 09: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특히 사업 경험이나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20·30대 젊은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이 가장 빨리 뛰고 있습니다.

작년 12월 말 현재 335만 8천499명의 개인사업자는 모두 1천109조 6천658억 원의 금융기관 대출(가계대출+기업대출)을 안고 있었습니다.

2022년 말(327만 3천648명·1천82조6천258억 원)과 비교해 1년 사이 대출자가 8만 4천851명(2.6%), 대출잔액은 27조 400억 원(2.5%) 더 늘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자료 화면

코로나19와 경기 부진을 대출로 버텨온 자영업자들이 고금리 등으로 한계에 이르면서 이들이 갚지 못하는 대출 규모가 1년 새 50% 이상 불었습니다.

특히 사업 경험이나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20·30대 젊은 자영업자들의 연체율이 가장 빨리 뛰고 있습니다.

오늘(4일)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개인사업자 가계·기업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현재 335만 8천499명의 개인사업자는 모두 1천109조 6천658억 원의 금융기관 대출(가계대출+기업대출)을 안고 있었습니다.

2022년 말(327만 3천648명·1천82조6천258억 원)과 비교해 1년 사이 대출자가 8만 4천851명(2.6%), 대출잔액은 27조 400억 원(2.5%) 더 늘었습니다.

더구나 같은 기간 이들의 연체금액(3개월이상 연체 기준)은 18조2천941억 원에서 27조3천833억 원으로 9조892억 원(49.7%)이나 급증했고, 평균 연체율도 1.69%에서 2.47%로 약 0.8%포인트(p) 뛰었습니다.

나이스평가정보는 국내 수위의 신용평가기관으로, 주요 시중은행을 비롯한 대다수의 금융기관이 대출자의 동의 아래 이 업체에 대출자의 금융정보를 제공하거나 반대로 기업·개인의 대출·연체 이력 등을 받아 신용평가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나이스평가정보의 통계에 실제 대출 현황이 대부분 반영된다는 게 금융권의 설명입니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빌려 추가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상황은 1년간 더 나빠졌습니다.

전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자영업자)는 현재 173만1천283명으로, 전체 개인사업 대출자(335만8천499명) 가운데 절반 이상(51.5%)을 차지했다. 이들의 대출잔액은 691조6천232억 원에 이르렀습니다.

다중채무 인원과 대출 규모가 1년 전(168만1천164명·675조3천47억 원)보다 5만119명(3.0%), 16조3천185억 원(2.4%) 불었습니다.

이들의 연체가 늘어나는 속도는 더 빨랐다.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의 연체액(21조7천955억 원)은 2022년 말(14조2천950억 원)보다 7조5천5억 원(52.5%) 증가했고, 평균 연체율도 2.12%에서 3.15%로 1.03%p 높아졌습니다.

특히 20·30대 젊은 자영업자들의 처지가 가장 어려웠습니다.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의 작년 연체액 증가율을 연령별로 보면, 30대(30∼39세)가 62.5%(1조7천39억 원→2조7천691억 원)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 60세 이상 58.0%(2조8천989억 원→4조5천800억 원) ▲ 50∼59세 56.0%(4조4천550억 원→6조9천491억 원) ▲ 40∼49세 43.7%(4조8천811억 원→7조127억 원) ▲ 29세 이하 36.1%(3천561억 원→4천846억 원) 순이었습니다.

연체율은 29세 이하(6.59%)에서 최고였고, 30대가 3.90%로 두 번째였다. 40대(3.61%)·50대(2.95%)·60세 이상(2.51%)으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연체율은 낮아졌습니다.

영업 규모나 자산 등의 측면에서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한 20·30세대 젊은 자영업자들이 대출 원금과 이자 상환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1년 사이 연체율 상승 폭도 29세 이하(2.22%p)와 30대(1.63%p)가 나란히 1·2위를 차지했습니다.

유덕기 기자 dky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