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계부채비율 100%는 너무 높아, 억제 강도 높여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기면서 국제금융협회(IIF)가 최근 조사한 34개 국가·지역 가운데 4년째 1위로 집계됐다.
우리 경제의 장기적 안정을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가계부채 비율을 낮춰야 한다.
국제금융협회가 최근 발표한 세계 부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100.1%로 2022년 말 104.5%에서 4.4%포인트 떨어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100%를 넘기면서 국제금융협회(IIF)가 최근 조사한 34개 국가·지역 가운데 4년째 1위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2022년 말에 견줘 조금 떨어졌지만, 위험도가 크게 낮아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올해 가계부채 비율 관리 목표를 ‘100% 이내’로 잡은 것은 너무 느슨하다. 우리 경제의 장기적 안정을 위해, 좀 더 적극적으로 가계부채 비율을 낮춰야 한다.
국제금융협회가 최근 발표한 세계 부채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100.1%로 2022년 말 104.5%에서 4.4%포인트 떨어졌다. 비율 하락은 국내총생산 증가액보다는 가계 대출 증가액이 적었다는 뜻이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감소폭이 34개 조사 대상 국가·지역(유로권) 가운데 영국(-4.6%) 다음으로 컸다고 밝혔다.
그러나 가계대출의 비율이 여전히 100%를 넘는 것만으로도 사태는 심각하다. 금융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다루지 않은 스위스, 오스트레일리아도 가계부채 비율이 100%가 넘는다. 국제결제은행이 지난해 9월 발표한 1분기 가계 부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보면, 오스트레일리아(17.1%)나 우리나라(14.1%)는 가계가 감내하기 힘겨운 수준이다. 다행히 금융위기는 피하더라도, 가계의 소비 여력이 떨어져 경제 선순환에 장애가 된다.
지난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10조1천억원 증가에 머물렀다. 그러나 정부 정책금융 가계대출은 크게 늘었다. 주택도시기금과 한국주택금융공사가 공급한 주택담보대출만 총 28조8천억원 증가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45조1천억원이나 증가했다. 그것이 가계부채 조정 폭을 줄였다.
정부가 가계부채 비율을 100%로 관리하겠다는 것은 증가 억제에 적극 나서지 않겠다는 의미다. 눈앞의 경기를 고려해서 그러는 것이라면 소탐대실이 될 수 있다. 가계대출 연체율 상승과 개인회생 신청자의 증가 흐름은 가계부채가 이미 너무 팽창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지난해 4분기 가계의 실질 사업소득이 5분기 연속 감소하고, 가계의 실질 근로소득도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는 등 원리금 상환 능력은 취약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주택 관련 대출 증가를 억제해야 한다. 주택 시장 전망도 밝지 않은데, 자꾸 빚을 내서 집을 사도록 유도해선 안 된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의사들의 ‘끝장 투쟁’과 정부 제재 시작…의료공백 더 커진다
- [뺏지야 엠티가자!]-①아찔한 첫만남…천하람 vs 장경태
- 필수의료 공백 커지는데…의대 증원 ‘대치’ 어떻게 푸나
- ‘친윤·친명 불패’…여야 지역구 공천, 혁신은 어디에?
- 혼인 10년새 40% 줄었다…출구 없는 ‘저출생 한국’
- 국힘 중진 컷오프 1명뿐…쇄신 없이 ‘조용한 공천’ 자화자찬
- 이재명, 국힘 간 김영주에 “채용비리 소명 못해 0점”…김 “연관 없다 답해”
- 구호품 트럭 참사에…이 “팔 주민들 몰려들다 압사” 주장
- ‘입틀막’ 비튼 SNL…“풍자는 저희의 권리이기 때문에”
- 미성년자 성폭행범 변호 때 ‘거짓 피해자진술서’ 낸 공수처장 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