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목바람길’의 안병호 공동대표와 임정자 사무국장 [세월호 10년, 100명의 기억-57]

조남진 기자 2024. 3. 3. 07: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월호 팽목 기억관을 출발해 팽목 기억관으로 돌아오는 '팽목바람길'은 사람이 걷는 길이다.

진도대교에서 시작해 세방낙조 전망대 쪽으로 근사한 길을 낼 계획도 세웠지만 '사람이 걸을 수 있는 길'을 만들어야 한다는 조언을 듣고 팽목바람길로 방향을 틀었다.

사람이 걸을 수 있는 길, 사람이 있는 길, 그리고 기억할 수 있게 하려고 팽목항을 지나도록 길을 만들었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월16일은 세월호 참사 10년이 되는 날입니다. 〈시사IN〉이 그날까지 ‘세월호 사람들’ 100명을 만납니다.
세월호 팽목바람길 임정자 사무국장(왼쪽)과 안병호 공동운영위원장이 팽목바람길 코스 앞에 섰다. ⓒ시사IN 조남진

세월호 팽목 기억관을 출발해 팽목 기억관으로 돌아오는 ‘팽목바람길’은 사람이 걷는 길이다. 66차 걷기 행사가 이어지고 있는 이 길은 아동문학가인 임정자 사무국장(58)과 지역 주민, 뜻있는 동료들이 2018년 1월2일 함께 낫을 들고 뚫었다. 진도대교에서 시작해 세방낙조 전망대 쪽으로 근사한 길을 낼 계획도 세웠지만 ‘사람이 걸을 수 있는 길’을 만들어야 한다는 조언을 듣고 팽목바람길로 방향을 틀었다. 잊지 않기 위해 팽목바람길을 찾기 시작했던 안병호씨(46)는 지금은 공동운영위원장으로 이 길을 함께 지켜가고 있다.

“광화문 집회의 구호는 ‘잊지 않겠다’ ‘기억하겠다’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잊히는 것 같았어요. 근데 2018년 팽목항에 길이 만들어졌고, 같이 걸어보자는 제안이 왔을 때 얼마나 될지 모르겠지만 나 스스로 어떻게든 기억해야겠다, 일단 걷는 것 자체만이라도 해보자는 마음으로 시작했지요. 그런데 바람길 중간에 진도 해상교통관제센터(VTS)가 있거든요. 구할 수 있었는데도 손 놓고 있었다는 생각을 하면 너무 안타까웠어요. 10년이 다 되도록 재발 방지 노력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진상규명은 또 얼마만큼 진행됐는지, 그리고 책임자 처벌은 제대로 되고 있는지 등을 생각해보면 답답합니다.

희생자들이 뭍으로 올라온 곳이 바로 여기였기 때문에 기억의 출발점이라 여겼고 기억하기 위해 이곳에서 걸음을 시작했어요. 어떻게든 이 공간이 계속 남아 있었으면 좋겠는데, 시간이 지나면 그냥 없어질 것만 같기도 하고…. 여객선 터미널 건물들이 들어서고 주변이 정비되다 보니 더 빨리 잊으라고 등 떠미는 것 같다고나 할까요. 얼마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곳을 방문하는 다른 사람들도 계속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는 장소로 남았으면 좋겠습니다.”(안병호)

“조간신문을 보고 세월호 참사를 알게 됐어요. 참사 당일은 전혀 몰랐어요. 도저히 집에 있을 수 없어서 며칠 뒤 진도로 내려왔어요. 여주에서 너무 먼 길을 갔던 탓일까요. 어둑어둑해질 무렵 집에 돌아가려는데, 등대에서 어떤 어머니가 아이 이름을 부르면서 우는데, 사람의 소리가 아니었어요. 그 울음소리를 등에 짊어지고 돌아왔기 때문에 지금까지 여기에 있었나 봐요.

처음 화랑유원지 분양소에 갔을 때 5·18 민주묘역 갔을 때보다 더 힘들었어요. 사진이 다 있으니까. 그날 밤 아이들이 찾아오는 꿈을 꿨어요. 쉬고 싶으니, 팔을 내어달래요. 그래서 팔을 내줬는데 하늘에 떠 있는 애들이 내려와서 팔을 베고 자더라고요. 아이들이 쉴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에 어린이 문학 하는 사람들, 책 만드는 사람들, 편집자들, 동화작가, 청소년 소설 쓰는 사람, 그림 그리는 사람들을 모아서 100일 될 때 세월호 이야기책을 만들었고, 광화문에서 한 뼘 걸개전도 했어요. 200일 되었을 때는 ‘기억의 벽’ 작업을 시작했고, 지금 여기까지 오게 된 거예요. 그런데 세월이 지나면 다 잊힐 것 같더라고요. 누군가 계속 찾아올 수 있게 하려고 2018년 1월2일 처음 낫을 들었어요. 사람이 걸을 수 있는 길, 사람이 있는 길, 그리고 기억할 수 있게 하려고 팽목항을 지나도록 길을 만들었죠.

세월호는 사람들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말하게 만들었고, 결국 박근혜 정부를 탄핵했다고 생각해요. 코로나19를 거치면서 서서히 잊었다고 여겼는데 잊은 게 아니라 일상으로 돌아갔을 뿐이더라고요. 사실 5·18도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밝혀지고 있는 것처럼 세월호도 천천히 가는 것 같아요. 중요한 것은 지금의 결과를 다 용인하는 게 아니라는 거지요.”(임정자)

2월3일 진행된 66차 팽목바람길 걷기는 ‘줍깅(산책하며 쓰레기 줍기)’으로 진행되었다. ⓒ시사IN 조남진

 

조남진 기자 chanmool@sisain.co.kr

▶읽기근육을 키우는 가장 좋은 습관 [시사IN 구독]
▶좋은 뉴스는 독자가 만듭니다 [시사IN 후원]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타임톡beta

해당 기사의 타임톡 서비스는
언론사 정책에 따라 제공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