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전쟁’이 쏘아 올린 공…챗GPT “독재 긍정평가 어려워” [AI묻답]

윤준호 2024. 3. 2. 18: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비롯한 AI 기술이 일상에 깊이 파고들고 있습니다. [AI묻답]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난 궁금한 사안, 결론 내리기 어려운 주제를 인공지능(AI)에게 묻고 답을 들어보는 연재 기사입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의 생애와 정치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영화 ‘건국전쟁’이 연일 회자되고 있습니다. 이달 초 개봉한 이 영화는 개봉 한달도 안 돼 누적 관객 수 10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김덕영 감독은 지난달 29일 영화의 속편을 5편까지 이어갈 수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건국전쟁 2’는 이 전 대통령이 태어난 지 150주년이 되는 내년 3월26일 개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28일 서울 한 영화관의 상영 시간표. 영화 ‘건국전쟁’ 배급사 다큐스토리는 3월27일 기준 누적 관객 수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영화 흥행을 계기로 이 전 대통령을 재평가해보자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이 전 대통령의 업적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자는 주장입니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은 광화문 바로 옆에 이승만기념관을 짓겠다는 뜻을 내비쳐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이 강하게 반대 목소리를 내기도 했습니다. 

◆서울시, 기념관 건립 추진…이승만 재평가 재점화

이 전 대통령 재평가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1년에는 KBS 다큐멘터리 ‘초대대통령 이승만’으로, 2012년에는 민족문제연구소 다큐멘터리 ‘백년전쟁’으로 그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벌어졌습니다.

다시 불붙은 재평가 움직임에 힘입어 오 시장은 지난달 서울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 시장은 “영화 건국전쟁 등이 상영되는 것이 일종의 공론화와 공감대 형성의 과정”이라며 “이제는 입지가 어디가 바람직한지를 본격적으로 논의할 시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달 12일 영화관을 찾았습니다. 한 위원장은 건국전쟁 관람 후 기자들과 만나 “대한민국이 여기까지 오게 되는 데 굉장히 결정적인, 중요한 결정을 적시에, 제대로 하신 분”이라며 “한미상호방위조약과 농지개혁이 없었다면 대한민국은 지금과 많이 달랐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12일 서울 여의도 한 영화관에서 영화 ‘건국전쟁’ 관람을 마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엇갈리는 반응…학계 “정치적 신격화 우려”

한편 정치적 목적으로 이 전 대통령의 공을 과하게 부풀리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영화를 관람했다는 유명인들이 뭇매를 맞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가수 나얼씨는 인스타그램에 건국전쟁 포스터를 올렸다가 야권 성향 네티즌들의 악플을 받고 댓글창을 닫았습니다. 공무원시험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 역시 자신의 영화 관람을 비판하는 네티즌들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학계에선 재평가는 좋지만 인물 신격화는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사실과 합리성에 근거한 토론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이성재 충북대 역사교육학과 교수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민주당에서 허위사실로 5·18민주화운동을 왜곡하면 처벌받도록 한 5·18민주화운동특별법조차 반대했다”며 “비판과 해석은 항상 열려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 교수는 “기념관은 기억할 내용이 있을 때 하는 것이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뒤에야 지을 수 있는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이 교수는 ‘공은 공, 과는 과’라는 식의 태도 역시 비판했습니다. 그는 “역사 교육에서는 가치평가가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고 단순하게 역사 상대주의적 태도로는 학생들에게 어떤 교훈도 줄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예를 들어 히틀러는 동물보호자였는데 ‘공은 공’이니 기념관을 세울 수 있겠냐”고 반문했습니다. 이어 “건국전쟁 개봉 이후 이 전 대통령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역동적인 상황은 긍정할 수 있지만, 그의 과로 인해 피해 입은 사람들도 있는 만큼 기념관 건립에는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챗GPT, “평가에서 독재 빼면 안 돼”

챗GPT는 ‘이승만 전 대통령을 어떻게 평가하냐’는 질문에 “경제 발전에 일부 기여한 측면이 있다”면서도 “독재적 통치로 인권 침해와 불평등이 발생했다”고 답했습니다. 또 영화에서 이 전 대통령의 업적으로 강조하는 농지개혁에 대해서도 “농지개혁을 시도했지만 성공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평가했습니다. 당시에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뒤이어 이어진 정부들의 정책과 시도를 같이 고려해야 한다는 겁니다.
‘농지개혁을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업적으로 볼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챗GPT의 답변.  챗GPT 캡처
챗GPT는 “이승만 전 대통령을 평가할 때에는 통치 시기의 특수성과 독재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해 균형 잡힌 평가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이어 “경제정책, 대외관계형성, 농지개혁 시도 등도 독재적인 통치 구조 안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이승만 대통령의 통치 시기는 민주주의 원칙에 반하는 정치적 통치 방식으로 특징지어진 만큼, 이를 고려하지 않고 업적만을 강조하는 것은 해당 시기의 특수성을 간과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의 업적을 평가할 때 독재를 배제할 수 있냐’는 질문에 대한 챗GPT의 답변. 챗GPT 캡처
또 역사적 인물을 재평가할 때 주의해야 할 점으로 ‘우상화 피하기’를 꼽았습니다. “모든 인물은 그들 자체의 단점과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인정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겁니다. 
영화 ‘건국전쟁’이 쏘아 올린 이승만 전 대통령 재평가 논란, 역사는 재평가의 연속이라지만 일면만 강조한 해석과 신격화는 지양해야겠습니다.
 

윤준호 기자 sherp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