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준만 시론] 그 많던 ‘친문’은 다 어디로 갔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나는 평생을 보수진영에서 활동해 왔습니다갑자기 나는 다른 보수주의자들과 다른 사람으로 분류되었고, 사회적 집단에서 멀어졌습니다. 나는 주말 내내 그저 침묵 속에서 울부짖었습니다." 2019년 미국의 온건 보수파 인사이자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인 데이비드 브룩스가 한 말이다.
강성 팬덤의 수명이 짧다는 걸 위안으로 삼아야 하나? 하긴 "대한민국은 문재인 보유국"이라고 외친 그 많던 친문(親문재인)은 다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사저널=강준만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
"나는 평생을 보수진영에서 활동해 왔습니다…갑자기 나는 다른 보수주의자들과 다른 사람으로 분류되었고, 사회적 집단에서 멀어졌습니다. 나는 주말 내내 그저 침묵 속에서 울부짖었습니다." 2019년 미국의 온건 보수파 인사이자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인 데이비드 브룩스가 한 말이다.
도대체 무슨 죄를 졌길래 그렇게 모진 사회적 왕따를 당했던 걸까? 이유는 단 하나. 공화당 대통령 후보가 되겠다고 나선 도널드 트럼프를 비판한 죄였다. 이상한 일이다. 당시 트럼프에 대해선 보수 정치권에서도 '인간 말종'이라는 식의 비난이 난무하던 때가 아닌가. 공화당 정치인들이 트럼프를 향해 퍼부었던 비난 몇 개를 감상해 보자. "병적인 거짓말쟁이" "극단적으로 비도덕적인 인물" "지금까지 본 적이 없는 수준의 나르시시스트" "먼지 하나가 대통령이 되는 것이 훨씬 더 적절하다".
그러나 '트럼프 돌풍'을 막을 수 없다는 게 분명해지자 이 정치인들은 모두 이전의 말을 뒤엎고 트럼프에게 투표하라고 독려했다. 정치인은 그렇게 해도 양해가 되는 직업이다. 하지만 언론인은 다르다. 물론 언론인도 얼마든지 생각을 바꿀 수 있지만, 정치인처럼 그렇게 급변할 수는 없다. 그저 침묵 속에서 울부짖는 수밖에.
언론인 에즈라 클라인은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라는 책에서 50년 전이라면 공화당 엘리트들이 트럼프를 막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이젠 왜 그게 불가능해졌단 말인가? 그는 당파성은 강해졌지만 정당은 약해졌기 때문이라는 답을 제시한다. '약한 정당과 강성 당원'으로 인해 선동가가 정치판을 장악하고 휘두를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좌우를 막론하고 강성 당원이 홍위병이 되어 정당을 지배할 수 있는 여지가 커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국이 아무리 친미 국가라곤 하지만, 어쩌자고 이런 것까지 미국 정치를 꼭 닮아가는지 모르겠다. '약한 정당과 강성 당원' 현상은 한국에서 미국을 능가할 정도로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니 말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에서 벌어지고 있는 '공천 파동'은 정당이 약한 정도를 넘어 사실상 존재하지 않으며, 강력한 '정치팬덤'을 거느리고 있는 계파의 수장이 곧 정당이 돼버린 현실을 웅변해 주고 있다.
20년 전에 시민이 고객으로 대체되었다는 의미에서 '다운사이징 디마크러시'라는 말이 나왔지만, 이젠 시민은 물론 고객마저 '강성 당원'으로 쫄아든 '다운사이징'의 시대가 열렸다고 말하는 게 옳을지도 모르겠다. 때마침 나온 '"500명이면 결과 바꾼다"는 ARS, 팬덤 결집 친명에 유리'(중앙선데이 2월24일자)라는 제목의 기사가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거버넌스그룹 연구위원 박상훈이 지난해에 지적했듯이, "10만~20만 명 상당의 팬덤 당원만 있으면 당권은 물론 대선후보가 될 수 있게 됐"으니, 전국 차원에서건 지역 차원에서건 강성 팬덤 당원의 시대가 활짝 열렸다고 할 수 있겠다.
브룩스가 느낀 '고립의 두려움'은 한국처럼 인구밀도가 촘촘하고 문화적 동질성이 강한 나라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법이다. 그런데 주류 의견이라는 게 이렇다 할 튼튼한 실체가 없는 것이라면? 강성 당원을 거느린 계파가 약한 정당을 장악한 후에 정당 내의 의견에 대한 강한 '처벌과 보상'을 통해 사실상 강요한 기회주의적 처세술의 결과라면 너무 허망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강성 팬덤의 수명이 짧다는 걸 위안으로 삼아야 하나? 하긴 "대한민국은 문재인 보유국"이라고 외친 그 많던 친문(親문재인)은 다 어디로 갔는지 모르겠다.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교생 男제자와 성관계 맺은 女교사…대법 “성적학대 맞다” - 시사저널
- “기 꺾어놔야”…아기 기저귀 터지도록 폭행해 숨지게 한 친모·공범 - 시사저널
- ‘親文’ 임종석 OUT, 고민정 사퇴…文 움직일까 - 시사저널
- 삼겹살 다시 ‘검증대’ 올랐다…‘비계 논란’ 마주한 유통가 대책은 - 시사저널
- “이재명 손에 피칠갑” “나도 속았다”…의총장에 울려퍼진 非明 절규 - 시사저널
- 지뢰밭 된 도로…‘포트홀 사고’ 보상받으려면? - 시사저널
- 출산율 ‘0.6명’…1년간 한국 여성 추적한 BBC 진단은 - 시사저널
- 안성 스타필드서 번지점프 60대女 사망…고리 풀린 채 추락 - 시사저널
- 힘들게 운동해도 그대로인 체중…의외의 원인 3가지 - 시사저널
- 가족·친구가 우울증이라면?…절대 해선 안될 말 3가지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