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2년간 1천362곳 급증… 컨트롤타워 없다 [경기도 희망, 수출기업 살리자]

박용규 기자 2024. 3. 1. 10: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도내 ‘3만5천345곳’ 매년↑
판로·글로벌 공급망 확보 등
시장 다변화 선제적 대응 한계
업계 “지자체 차원 지원 절실”
경기도내 수출기업이 매년 늘어나고 있으나 기업들의 해외 판로 확보, 수출입 지원 등을 뒷받침하고 활성화할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7일 수출입용 컨테이너가 가득한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 김시범기자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경기도내 수출기업이 매년 수백곳씩 늘어나는 등 대외 무역 시장이 커지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고 활성화할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수출 기업이 경기도에 위치하지만 기업 해외 판로 확보, 수출입 지원 등 통상 전략을 수립·지원할 컨트롤타워가 없어 중소 업체를 중심으로 해외 시장 대응에 난항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도내 수출 기업은 지난 2021년 3만3천983곳, 2022년 3만4천429곳, 지난해 3만5천345곳으로 지난 2년간 1천362곳 늘었다.

전국 수출 기업 중 도내 기업 점유율도 2021년 33.8%(전국 10만367곳), 2022년 34.1%(전국 10만741곳), 지난해 34.2%(전국 10만3천126곳)로 매년 30%대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이 같은 수출 기업 밀집에도 해외 기업·바이어간 교류, 해외 투자 유치, 해외 신규 시장·사업 발굴,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해외 통상 전략에 선제 대응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는 요원하다는 게 업계 공통된 지적이다.

일선 시·군은 자체 조직과 해외 네트워크, 예산을 투입해 지역 수출입 기업의 판로 확보 등 통상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도에는 시·군 한계점을 보완하고 지역 통상 전략을 이끌 정책적 구심점이 없기 때문이다.

지역 수출 기업들을 중심으로 격변하는 해외 투자·수출입 시장 대응을 위한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이 부족, 어려움이 가중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일례로 안양시에서 화장품을 생산하는 A사는 시장 다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A사는 지난 2021년 자체 생산량 70%를 베트남에 수출했지만, 시장이 포화되면서 지난해 54%까지 수출량이 떨어졌다. 이에 A사는 유럽 시장을 개척하려 했지만, 행정 기관의 통상 전략 지원이 없어 시장 변화 대응에 난항을 겪는 실정이다.

A사 관계자는 “수출 기업들의 무역 이슈에 선점할 수 있는 광역 단체의 지원이 부족해 민감한 해외 시장 대응을 못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용인특례시에 위치한 의료 기기 업체 B사도 해외 물류비 상승 이슈로 수출 지원에 난항을 겪고 있다. 최근 홍해 해협 운항 중단 등의 여파로 국제 물류비가 치솟으면서 선박 일정에 차질을 겪으면서다. 이에 B사는 유럽에 있는 거래처에 정해진 납기일을 맞추지 못한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도내 수출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 이외의 기업은 공략할 수 있는 해외 시장이 국한된 데다 국가별 민감한 이슈에 일일이 대응하기에 한계점이 있다”며 “시장 재편, 물류 등의 문제에 선제 대응하는 지자체 차원의 종합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용규 기자 pyk1208@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