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1일!] "모자 속에 숨겨온 그것"… 105년 전 그날의 함성

차화진 기자 2024. 3. 1. 07:1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19년 3월1일 거리에 있던 사람들은 목청을 높여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다. 사진은 1919년 3.1운동 당시 대한문 앞의 만세시위 모습. /사진=독립기념관
"대한 독립 만세!"

1919년 3월1일. 한 청년의 외침으로부터 역사는 시작됐다.

"우리들은 지금 우리 조선이 독립한 나라이고 조선 사람이 자주적인 국민이라는 것을 선언하노라."

독립선언서와 태극기가 거리에 뿌려졌고 거리에 있던 사람들은 목청을 높여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다.

3·1운동이 일어나기 한 달여 전 일본 도쿄에서 공부 중인 조선인 유학생들이 있었다. 독립을 갈망하던 이 학생들은 일본의 심장인 도쿄에서 2월8일 독립을 선언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독립선언문을 작성했다.

"모든 조선청년독립단은 우리 이천만조선민족을 대표하여 정의와 자유의 승리를 얻은 세계만국 앞에 독립을 선언한다."



적진 한복판에서 외친 "대한 독립"… 3·1운동의 방아쇠 되다


2·8 독립선언은 3·1운동의 결정적 계기가 됐다. 사진은 1919년 당시 일본 도쿄에서 발표된 28독립선언서. /사진=국가보훈처
2·8 독립선언 계획에 참여했던 송계백은 이 선언문을 모자 속에 숨겨 국내로 들어왔다. 보성중학교 출신인 송계백은 보성고등보통학교 교장 최린, 보성중학교 선배이자 중앙학교 교사 현상윤, 중앙학교 교장 송진우, 그리고 최남선을 만나 독립선언서 초안을 전달했고 최린은 독립운동가 손병희에게 초안을 보여줬다.

손병희는 "젊은 학생들이 이같이 의거를 감행하려는 이때 선배로서 좌시할 수 없다"고 말했고 전 세계를 향해 독립 선언을 해야 한다는 독립운동가들의 결의가 모이기 시작했다. 어린 학생들이 적진의 한복판에서 외친 독립과 조국의 학교 교사와 교장에게 전달한 이 글이 3·1 운동의 도화선이 된 것이다.

1919년 2월27일 밤. 서울 종로구 보성사에서 인쇄 소리가 들려왔다. 그날 보성사 사장 이종일이 직원을 모두 퇴근시킨 뒤 커튼을 치고 극비리에 인쇄하던 것은 2만1000장의 기미독립선언서. 그러나 한창 인쇄를 하던 중 순찰하던 형사 신승희의 검문에 걸리고 만다.

이종일은 "당신도 조선 사람이니 제발 한 번만 눈 감아 달라" 라고 사정했지만 통하지 않았다. 자초지종을 들은 손병희는 신승희에게 당시 거금이었던 오천원을 쥐어 줬고 신승희는 돈뭉치를 받고 유유히 사라졌다.



독립운동 역사 중 구심점이 된 사건, 3·1운동


민족대표들은 고종의 장례식 이틀 전인 1919년 3월1일 독립을 선언하는 선언식을 열기로 했다. 사진은 1919년 3.1운동 당시 일본 도쿄에서 발행된 "The Japan Advertiser"에 실린 대한문 앞에서 시위하는 군중들. /사진=독립기념관
그즈음 고종이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 일본이 고종을 독살했다는 소문이 퍼지며 일본에 대한 적개심이 더욱 거세졌다. 민족 대표 33인이 모여 1919년 3월1일 대규모 평화적 만세 운동을 주도하기로 했다.

"일본에게 우리 국민의 힘을 보여 줍시다."
"거사는 장례식 이틀 전, 탑골 공원에서 치르기로 합시다."
"그럼 사람들을 모아 보세."

마침내 3월1일. 민족 대표 33인이 태화관에 모였다. 일본 경찰관과 충돌을 우려해 탑골공원이 아닌 태화관으로 장소를 비밀리에 바꾼 것이다. 이들은 그 자리에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조선 독립을 선언했다. "조선은 독립한 나라이고 자주적인 민족임을 선언하노라"

같은 시각 탑골공원에는 학생을 주축으로 5000명이 모였다. 기다려도 나타나지 않는 어른들을 뒤로하고 나선 건 학생들이었다. 조심스럽게 가방을 맨 차림으로 단상에 오른 청년 정재용은 큰 목소리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오늘 조선이 독립한 나라이며 조선인이 이 나라의 주인임을 선언하노라."

미리 준비해 둔 독립선언서와 태극기가 거리에 뿌려졌고 거리에 있던 사람들은 목청을 높여 외쳤다. "대한 독립 만세"라고.



청춘을 바쳐 외친 "대한 독립 만세"


3·1 운동은 독립에 대한 우리 민족의 염원을 전 세계에 알린 대규모 민족 운동이었다. 사진은 독립운동가 문용기가 3.1운동 당시 만세시위 참가 때 입었던 솜저고리. /사진=독립기념관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만세운동은 동대문까지 전개됐으며 서울에서 제주도, 심지어 만주와 미국까지 들불처럼 번지기 시작했다. 총 1692건의 시위가 벌어졌는데 집계된 참가자만 80만~100만명이었고 일제 탄압에 의해 700~900명이 사망했다. 일본은 만세 운동을 무차별적으로 진압했다. 경기도 화성군 제암리에서 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일본군은 사람들을 한 곳에 모아 죽이고 마을에 불을 지르는 만행까지 저질렀다.

5월 중순까지 이어지던 만세 운동은 결국 서서히 자취를 감췄지만 독립에 대한 우리 민족의 염원을 전 세계에 알린 대규모 민족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무엇보다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독립에 대한 희망과 자신감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됐다.

3·1운동의 중심에는 청년들이 있었다. 한국 최초 여성 비행 조종사로서 전투기를 몰고가 일본군에게 총알을 퍼부은 31세 권기옥. 일왕 생일 축하식에서 폭탄을 투척해 일본제국의 주요 인사들을 처단하다 순국한 25세 윤봉길. 비밀결사를 조직해 항일운동을 하고 법정 투쟁까지 불사한 21세 박열. 청소년의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탄압할 때도 감옥 안에서 만세를 외친 18세 유관순.

그리고 이름도 남기지 못한 채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간 많은 청춘들. 그들은 자유와 평등이 억압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청춘을 독립운동에 바쳤고 모진 고문에도 감옥 안에서 독립을 염원했다.

차화진 기자 hj.cha9@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