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해킹공격 더 이상 안 통할까…세계 최초 ‘암호 반도체’ 국내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물인터넷, 자율주행 등 시대에 소자·기기 간 정보 교환이 늘어나면서 해킹 공격도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해킹을 막는 보안용 암호 반도체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카이스트는 최양규·류승탁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해킹을 막는 세계 최초 보안용 암호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기반 반도체 설비도 이용 가능
카이스트는 최양규·류승탁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이 해킹을 막는 세계 최초 보안용 암호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트랜지스터 하나로 이루어진 독창적 구조를 갖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동작 방식 또한 독특한 특성을 가진 난수발생기”라고 설명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보안 칩인 ‘고급 암호화 표준(AES)’에서 난수발생기는 핵심 요소다. 난수발생기는 AES 보안 칩 전체 면적의 약 75%, 에너지 소모의 85% 이상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모바일 혹은 사물인터넷(IoT)에 탑재가 가능한 저전력·초소형 난수발생기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실리콘 금속 산화막 반도체(CMOS) 공정과의 호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도 있다.
연구팀은 100% 실리콘 호환 공정으로 제작된 핀펫(FinFET) 기반 보안용 암호반도체 크립토그래픽 트랜지스터(이하 ‘크립토리스터’)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돼 기존 난수발생기보다 면적과 소모 전력을 수천 분의 1 수준으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또한 실리콘 기판 하부에 절연층이 있는 ‘실리콘 온 인슐레이터(SOI)’ 위에서 전위 불안정성을 이용해 난수를 생성하도록 했다. 무작위로 0과 1 신호를 만들어 해킹 공격을 막는 방식이다.
연구에 참여한 김승일 카이스트 박사과정 연구원은 “초소형·저전력 난수발생기는 특유의 예측 불가능성으로 보안 기능을 강화해 칩 간의 통신 보안으로 안전한 초연결성을 지원할 수 있다”며 “특히 기존 연구 대비 에너지, 집적도, 비용 측면에서 탁월한 장점을 갖고 있어 사물인터넷(IoT) 기기 환경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 국가반도체연구실지원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변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온라인에 2월 게재됐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90분간 20억치 주문 몰렸다”…요즘 잘 팔리는 옷은 ‘이것’ - 매일경제
- “지금 복귀하면 불이익 없나요?”…전공의 294명 병원 복귀, 문의도 잇따라 - 매일경제
- ‘100만원 꽃병’ 순식간에 다 팔려…집 꾸밀 때 필수라는 ‘이것’ 뭐길래 - 매일경제
- [속보] 정부 “거점국립대 의대교수 1000명 더 늘려 의학교육 질 제고” - 매일경제
- 삼성, 중국산에 빼앗긴 엄마 마음 되돌릴 수 있을까…미국서 칭찬받은 로봇청소기 - 매일경제
- 손흥민·이강인 ‘깜짝 화해’ 그 뒤에 이 사람이 있었다…선수시절 등번호도 이강인과 같은 ‘1
- “할아버지 옷 입은 거 아냐?” 놀렸다간 큰코…2030 패잘알 다 입는다 - 매일경제
- 매달 20만명 다녀갔다는데…용산의 핫플 ‘여기’ 였구나 - 매일경제
- 여야, 선거구 획정 전격 합의···비례 1석 줄이기로 - 매일경제
- 파리올림픽 4대 구기 종목 전멸 위기, 황선홍호는 사실상 유일한 희망…KFA는 너무 큰 짐을 떠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