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전 필요한 메타 저커버그···삼성과 'AI 연합군' 결성하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29일 윤석열 대통령과 만나 대만 기업인 TSMC에 대한 의존 문제를 화두에 올리자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는 "앞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 판도 변화가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메타와 같은 글로벌 빅테크를 이끄는 수장의 입에서 엔비디아와 TSMC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 상황에 대해 일종의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 셈이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TSMC 독점에 불만 드러내
삼성전자와 파운드리 협력 확대 전망
인텔·마이크론 '美반도체 공세'는 변수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29일 윤석열 대통령과 만나 대만 기업인 TSMC에 대한 의존 문제를 화두에 올리자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는 “앞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 판도 변화가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메타와 같은 글로벌 빅테크를 이끄는 수장의 입에서 엔비디아와 TSMC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 상황에 대해 일종의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 셈이기 때문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두 사람이 반도체 업계 구도에 대해 변동성(volatility)이 지나치게 커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 공감대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메타의 가장 큰 불만은 자체 AI 사업 모델을 확산시키고 싶어도 이를 구현해낼 반도체를 구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메타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인 ‘라마3’를 자체 개발하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LLM에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 학습에 엔비디아가 생산하는 ‘H100’ 프로세서를 사용해야 한다. 데이터 학습 면에서 H100의 성능과 속도를 따라오는 칩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를 잘 아는 저커버그 CEO는 최근 “H100 35만 개를 포함해 연내에 총 60만 개 이상의 H100급 AI 칩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문제는 이 칩의 가격이 1개에 4만 달러를 넘길 정도로 비쌀뿐더러 가격을 떠나 주문이 밀려 있어 당장 물량 확보도 어렵다는 점이다. 엔비디아의 AI 가속기는 지금 주문해도 1년 뒤에나 제품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생산이 밀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경쟁에서 뒤처져 애가 타는 메타 입장에서는 ‘속도전’이 애초에 어려운 구조인 셈이다. 전 세계 빅테크에 공급되는 H100이 여러 용도에 쓰이는 범용 제품으로 설계돼 메타 입맛에 딱 들어맞는 맞춤형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점도 메타로서는 불만을 가질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이 때문에 메타는 엔비디아로부터 반도체 독립을 위해 생성형 AI 구동을 위한 ‘아르테미스’라는 이름의 2세대 칩 개발 계획을 내놓기도 했으나 이 제품의 설계가 완료되더라도 이미 생산 라인이 꽉 찬 TSMC에 생산을 맡기기도 어려운 상태다. 저커버그 CEO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만나 상호 협력을 논의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도 바로 이 대목이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으로서는 메타가 결코 놓칠 수 없는 고객이고 메타로서도 발주 물량을 한곳에 독점으로 주는 것보다 여러 곳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경쟁 구도로 가는 게 더 유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뿐 아니라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능력까지 갖춰 ‘풀 패키지’ 공급이 가능한 것도 삼성전자만의 장점이다.
다만 파운드리 부활을 선언한 미국 인텔의 공세는 삼성으로서도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인텔은 최근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자체 포럼에서 “올해 말부터 1.8㎚(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반도체 양산에 나서고 2027년부터는 1.4나노 공정까지 성공해 삼성전자를 제치고 세계 2위로 올라서겠다”고 발표했다. 파운드리 시장에서 승부처로 떠오른 패키징 공정에서도 삼성전자나 TSMC를 넘어서는 기술력을 갖추겠다는 인텔의 포부다. 국내 반도체 장비 업체의 한 관계자는 “결국 AI 반도체 최대 고객사인 북미 빅테크 업체들이 자국의 인텔이나 마이크론테크놀로지를 살리는 방향으로 ‘원팀’을 구축할 수 있다”며 “여기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일범 기자 squiz@sedaily.com강도원 기자 theone@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륜·가정폭력 의혹' 롯데 나균안 입 열었다…'사실 아냐, 법적 대응 진행 중'
- '황새' 황선홍, 축구대표팀 '임시 사령탑' 선임…'국대·올대' 겸임
- '건국 전쟁 덮으려고 분풀이한다'…'파묘' 저격한 김덕영 감독
- 이재욱♥카리나, 열애 인정 '알아가는 중…사생활 따뜻한 시선 부탁' [공식]
- 성균관 반발한 ‘근친혼금지 8촌→4촌 축소’ 논란에…법무부 “아직 개정 아냐”
- 나훈아, 가요계 은퇴 암시 '마이크 내려놓을 용기…박수칠 때 떠난다'
- 직원 절반이 ‘연봉 3억↑’…엔비디아, 실리콘 인재 빨아들인다
- '이 나이 먹고 편의점 알바해요'…2030 사이에 '프리터족' 뜨는 이유는 [이슈, 풀어주리]
- '아이 낳으면 정년 연장하자'…한은 간부의 '파격적 제안', 내용 살펴보니
- “뭐하려고 했더라” 스마트폰 달고사는 2030 '영츠하이머' 주의보 [일터 일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