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전국 주택 거래량 5개월만에 반등…전월 대비 13%↑

권혜진 2024. 2. 29.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주택 거래량이 5개월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만3천33건으로 한달 전인 지난해 12월(3만8천36건)보다 13.1% 증가했다.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3만2천111건)는 전월 대비 19.2% 증가했지만, 아파트 외 주택(1만922건)은 전월보다 1.6% 감소해 아파트의 거래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부 주택통계…전월세 거래량도 17.1% 증가
미분양은 또 늘어…준공후 미분양 1만1천363가구
지난 1월 서울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내걸린 홍보물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지난달 주택 거래량이 5개월 만에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1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4만3천33건으로 한달 전인 지난해 12월(3만8천36건)보다 13.1% 증가했다.

이로써 지난해 8월 이후 계속된 주택 매매거래 감소세에 제동이 걸렸다.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8월 5만1천여건 수준이었으나, 9월 4만9천여건, 10월 4만7천여건, 11월 4만5천여건, 12월 3만8천여건으로 지속 감소했다.

[그래픽]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zeroground@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국토부 보도자료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달 매매거래량을 작년 1월(2만5천761건)과 비교하면 67.0%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1만7천608건)은 전월보다 16.7% 늘었고, 지방(2만5천425건)은 10.8% 증가했다.

작년 1월과 비교하면 수도권은 71.0%, 지방은 64.4% 증가했다.

서울은 4천699건으로 전월(4천73건)보다 15.4%, 작년 동월(2천641건)보다 77.9%씩 늘었다.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3만2천111건)는 전월 대비 19.2% 증가했지만, 아파트 외 주택(1만922건)은 전월보다 1.6% 감소해 아파트의 거래가 더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최근 5년간의 1월 거래량을 보면 ▲ 2020년 10만1천여건 ▲ 2021년 9만1천여건 ▲2022년 4만2천여건 ▲ 2023년 2만6천여건 등이어서 이번 반등을 주택 경기 회복 신호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월별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국토부 보도자료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전반적인 매매 시장의 관망세 속에 지난달 전월세 거래량도 24만7천622건으로 전월(21만1천403건) 대비 17.1% 증가했다.

작년 동월(21만4천798건) 대비로는 15.3% 늘었다.

전월세 거래 중 월세 거래량은 13만8천425건(거래비중 55.9%, 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이 전세 거래량(10만9천197건)을 앞질렀다.

월세 거래 비중은 ▲ 지난해 9월 55.6% ▲ 10월 52.8% ▲ 11월 54.2% ▲ 12월 55.4% 등으로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다.

[국토부 보도자료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주택 인허가와 착공, 분양, 준공은 모두 작년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전체 주택 인허가는 2만5천810가구로, 작년 동기(2만1천425가구) 대비 20.5% 증가했다.

착공은 2만2천975가구로 작년 동기 대비 47.2% 증가했으며 분양은 1만3천830가구로 646.8% 급증했다.

같은 기간 준공은 3만6천762가구로 작년 동기(1만6천141가구)보다 127.8% 늘었다.

인허가부터 준공까지는 약 4∼5년, 착공부터 준공까지는 2∼3년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인허가와 착공, 분양, 준공 통계는 향후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로 여겨진다.

다만 작년 1월의 경우 부동산 시장이 가라앉아 인허가나 착공, 분양 등의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어서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했다고 국토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국토부 보도자료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미분양도 늘어나 지난 1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 수는 총 6만3천755가구로 집계됐다.

전월(6만2천489가구)보다 1천266가구(2.0%포인트↑) 증가한 규모다.

특히 악성으로 손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이 전월(1만857가구)보다 506가구 증가한 1만1천363가구로 나타났다.

lucid@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