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수출기업 적극 지원할 경기도 조직 확대 절실하다

경기일보 2024. 2. 29. 03: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다. 정부는 물론 지방자치단체 등이 적극 나서 수출기업을 지원해야 한다. 급변하는 해외 시장에 발빠른 대응이 쉽지 않은 중소기업에는 더욱 절실한 문제다.

코로나19 팬데믹 종식 이후 수출기업이 크게 늘었다. 경기도내 수출기업도 2021년 3만3천983곳, 2022년 3만4천429곳, 2023년 3만5천345곳으로 지난 2년간 1천362곳이 증가했다. 전국의 수출기업 중 도내 기업의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34.2%(전국 10만3천126곳)에 이른다.

기업이 늘어나는 만큼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관세청이 발표한 ‘경기도 수출입 현황’을 보면, 지난달 수출 실적이 121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41.6% 증가했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의 영향으로 수출 환경이 좋지 않은데도 크게 선전했다.

그러나 수출기업들의 앞으로의 전망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특정 국가에 대한 높은 수출의존도, 수출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 등 걱정거리가 많다.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구책 마련이 어려워 외부 충격에 많은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의 걱정은 더 크다.

일례로 안양에서 화장품을 생산하는 회사는 시장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회사는 2021년 생산량의 70%를 베트남에 수출했지만, 시장이 포화상태라 지난해 54%까지 떨어졌다. 이에 유럽 시장을 개척하려 하는데 한계에 부딪혀 난항을 겪고 있다. 행정기관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전국 수출기업의 3분의 1이 경기도에 소재하고, 매년 수백 곳씩 늘어나는데 이들 기업을 위한 정책 지원은 크게 부족하다. 해외 판로 확보, 수출입 지원 등 통상 전략을 수립·지원할 컨트롤타워가 없어 해외시장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안양의 화장품 회사처럼 중소기업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수출기업들은 해외 기업·바이어 간 교류, 해외 투자 유치, 해외 신규 시장·사업 발굴,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해외 통상 전략에 대응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일선 시·군은 자체 조직과 해외 네트워크, 예산을 투입해 나름대로 통상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경기도에는 시·군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 통상 전략을 이끌 조직이 미흡하다.

현재 경기도에는 관련 조직이 과 단위 한 곳에 불과하다. 여기에서 제대로 된 통상 전략을 수립하고 해외 통상 변수에 대응하기는 어렵다. 해외 경쟁력이 뒤처질 수밖에 없다. 해외 여러 국가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도내 수출기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담 조직 확대가 시급하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