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뿐인 ‘밸류업’, 시장은 ‘갸우뚱’
‘채찍’ 없이 세제 혜택만 내세워
강제성·지속성 등 요구 목소리
금융당국이 지난 26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발표한 ‘코리아 밸류업 지수’와 상장지수펀드(ETF)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 지난해 7월 시작한 일본의 ‘JPX Prime 150’(프라임 150) 지수와 1월 출시된 관련 ETF를 벤치마킹한 것이다. 그러나 일본과 달리 밸류업 정책이 강제성이 없는 ‘맹탕’에 그치면서 증권가에선 향후 전망에 물음표를 찍고 있다.
전문가들은 28일 밸류업 지수와 ETF 출시가 증시를 끌어올리기 위해선 기업의 펀더멘털(기초체력)과 지배구조 개선은 물론 정부 정책이 지속성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밸류업 지수를 오는 3분기까지 개발하고 4분기에 이를 추종하는 ETF를 출시할 예정이다.
일본은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최상위) 시장 상장사 중 약 50%가 순자산비율(PBR)이 1배 미만인 것으로 나타나자 지난해 3월 프라임 150 지수 신설 방안을 내놨다. 지난 1월에는 이 지수를 추종하는 ‘iFree JPX Prime 150 ETF’도 출시했다. PBR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PBR이 1배보다 낮으면 주식이 장부 가치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격에 거래될 정도로 저평가됐다는 뜻이다.
프라임 150 지수에는 PBR이 1배가 넘고 자본수익률(ROE에서 자본비용을 뺀 값)이 높은 상장사만 포함됐다. 이 지수에 포함되도록 기업가치 개선을 유도하고 중장기 투자를 유치한다는 취지에서다.
중요한 점은 일본은 밸류 개선 성과가 부진한 종목을 상장폐지까지 가능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채찍’을 꺼낸 일본과 달리 한국 금융당국은 세제 혜택의 ‘당근’만 내세운 상태다. 금융당국이 기대한 밸류업 지수와 ETF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오히려 밸류업 지수에서 제외된 종목의 수익률이 높아 성과가 부진할 것이란 의견도 있다. 최병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미쓰비시 등 종목이 급상승해 프라임 150 지수가 닛케이지수 대비 낮은 수익률을 기록했다”며 “프라임 150 미포함 종목이 오히려 기업가치를 제고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결국 밸류업 지수와 ETF가 기대 효과를 거두기 위해선 세제혜택의 인센티브 외에도 강제성을 부여할 장치를 통해 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실제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8일 “상장 기업도 일정 기준에 미달할 경우 거래소 퇴출이 적극적으로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며 페널티를 시사하기도 했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열광시킨 ‘수학천재’ 소녀 씁쓸한 결말
- 교차로 가운데, 버스 정류장에…‘양심 버린 사람들’ 신고합니다
- 23기 정숙 “조건 만남 범죄 사실 아냐”… 제작진은 왜 사과했나?
- 수개월 연락 끊긴 세입자…집 열어보니 파충류 사체 수십여 구가
- 율희, ‘성매매 의혹’ 전 남편 최민환에 양육권·위자료 등 청구
- 마이클 잭슨 ‘빌리 진’ ‘스릴러’ 프로듀싱한 퀸시 존스 별세
- 이란서 히잡 단속에 ‘속옷 시위’ 벌인 학생 체포
- 영주서 50대 공무원 숨진 채 발견…노조 “갑질·괴롭힘 여부 확인 중”
- 잘 웃기고 싶은 코미디언들의 고민···‘저질 개그’와 ‘고급 개그’를 가르는 것은?
- [속보] 윤 대통령 “어떤 어려움 있어도 4대 개혁 완수”···총리가 시정연설문 대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