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누구도 경험해 보지 못한 미래 도시, 용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채집사회'는 흩어지는 것이 '경쟁력'인 반면, 현대의 '지식·정보사회'는 모이는 것이 '경쟁력'이 되었다.
현재 지구촌 전체인구의 55%가 도시에 살고 있고 2050년에는 3분의 2 이상이 도시에 모여서 살 것으로 예상한다.
용산 국제업무지구는 이러한 현대도시의 난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용산 역시 토지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하도시+지상도시+공중도시로 도시공간을 입체화하고 기능을 복합화하여 '입체복합 수직도시'가 될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집사회'는 흩어지는 것이 '경쟁력'인 반면, 현대의 '지식·정보사회'는 모이는 것이 '경쟁력'이 되었다. 현재 지구촌 전체인구의 55%가 도시에 살고 있고 2050년에는 3분의 2 이상이 도시에 모여서 살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지구촌에는 100만 이상의 도시가 500개, 1000만 명이 넘는 도시가 40개이고 3000만 명 이상의 메가시티도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현대인은 도시를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엔진'(Ian Goldin, Age of the City, 2023)이라 이해하고 있다.
메트로폴(수도)은 고대(古代) 이래로 '성장의 자석', '권력의 중심', '문화의 바탕'과 '경제의 원동력'이어서 사람들을 끌어모았다. 그러나 꿈을 이루기보다는 부족한 주거와 일자리, 복잡한 교통, 보기 어려운 녹지, 비좁은 고밀, 소음, 스트레스가 현대도시의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
용산 국제업무지구는 이러한 현대도시의 난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우선, 부족한 토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공간구조를 수직, 수평으로 '입체·복합화'할 예정이다. 세계는 지금 기존도시에서 부족한 공간에 대한 해법으로 성장하는 도시를 현명하게 수직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통해 해결해 가고 있다. 용산 역시 토지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하도시+지상도시+공중도시로 도시공간을 입체화하고 기능을 복합화하여 '입체복합 수직도시'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살고(거주), 일하고(직장), 쉬는(여가) 것이 보행으로 30분 이내에 도달될 수 있는 '보행 일상 도시'를 만들 계획이다.
또 모든 시민이 언제나, 영역의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용산은 단절된 도시의 자연성을 회복하여 맑은 공기, 깨끗한 물, 따듯한 햇빛을 누릴 수 있는 사람 중심의 도시로 계획되었다.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어디서나 5분 거리에 녹지와 시민을 위한 공공공간을 조성·제공하고 활성화하여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도시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기후 안심 도시를 위한 포괄적 정책으로 단절된 남산과 용산공원, 한강으로 이어지는 주요 녹지 축을 회복시킬 예정이다. 용산 국제업무지구는 연계 생활권을 고려하여 대지면적(50만㎡)과 같은 규모의 광역녹지체계를 구성하여 생활권 내 모든 시민이 공유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자연성 회복'으로 예측 불가능한 기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지속 가능 도시'로 공간구조를 재편할 예정이다.
서울 100년 미래 도시공간 대개조의 정점은 '인간중심 도시(Human City)'이다. 용산 국제업무지구는 '시민 삶의 질'과 '도시의 품격' 향상을 최종목표로 하고 있다. 자연과 사람의 관계를 융복합하고 연결한 '지능도시'를 만들어 시민의 삶의 질과 도시의 품격을 높인다. 핵심 3대 과제인 자연, 사람, 기술을 상호 융복합시키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변하지 않는 가치 중심의 '도시공간 구조계획'을 만들어 지구촌 어디에서도 경험할 수 없는 국제 경쟁력 최고 수준의 신도시라는 비전 및 공간전략 목표를 완성할 예정이다.
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나 너 좋아하냐" 손석구, '이상형' 장도연 만나고 빨개진 귀 눈길 - 머니투데이
- '국대 야구선수' 남편 사생활 폭로한 아내…"업소 여성 만나 가출" - 머니투데이
- "너희 엄마는 성괴"…장영란 악플에 자녀들이 한 대답 '감동' - 머니투데이
- '금수저' 처가 어려워지자…종노릇 중단 선언한 남편 "싫으면 이혼해" - 머니투데이
- 박용택 "아내에 20년간 칠첩반상 요구…매달 수백만원 용돈 줬다" - 머니투데이
- "자리 있어요?" 줄서서 기다렸는데…사라지는 PC방, 모바일로 우르르 - 머니투데이
- 대낮에 부른 대리기사가 성폭행·불법촬영…"2달 전 출소한 전과자" - 머니투데이
- 수입은 N빵, 위약금은 몰빵?…김새론, 혼자 '70억 빚' 떠안을 뻔했나 - 머니투데이
- '세계 1위' 삼성 D램 30년 왕조 '흔들'…SK하이닉스가 차지하나 - 머니투데이
- "김새론 안 만났다더니…김수현 측, '거짓말' 사과 없어" 비판한 변호사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