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흥길 "독자에게 불친절해보자 마음 먹고 썼다···'필생의 역작' 수긍할 작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마' '완장' '아홉 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 등 반 세기 넘게 걸출한 작품을 쓴 소설가 윤흥길(82)이 돌아왔다.
대하 소설이 드문 시대에 1600페이지 분량의 장편 소설 '문신(전 5권)'을 완간하면서다.
소설 '문신'의 모티브는 오래 전부터 작가 안에 있었다.
야간에 주로 소설을 쓰는 그는 여전히 밤을 새고 하루에 최대 수십 장의 원고를 쓰기도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하소설 '문신' 완간 기념 간담회
내년부터 다음 작품 집필 들어가
여든 줄 소설가의 동력은 '체력'
“이번 소설은 독자들에게 불친절하게 써보자고 마음을 먹고 썼어요.” (윤흥길 소설가)
‘장마’ ‘완장’ ‘아홉 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 등 반 세기 넘게 걸출한 작품을 쓴 소설가 윤흥길(82)이 돌아왔다. 대하 소설이 드문 시대에 1600페이지 분량의 장편 소설 ‘문신(전 5권)’을 완간하면서다.
윤 작가는 27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제 나이도 많고 앞으로 이런 작품을 쓸 기회도 없을 것”이라며 “독자들에게 친절하게 써보자는 생각에서 벗어나 문장 특색을 살리는 데 집중했다”고 밝혔다.
소설 ‘문신’은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는 한 가족의 욕망과 엇갈린 신념을 다룬다. 누구보다 먼저 창씨개명을 하고 일제 시대 법의 빈틈을 파고들어 천석꾼이 된 최명배와 아버지 뜻과는 다른 삶을 사는 세 자녀 최부용·귀용·순금의 역동적인 삶이 끊임 없이 겹쳐졌다 갈래가 바뀌는 지류처럼 펼쳐진다. 완간 전인 2020년 제10회 박경리 문학상을 수상한 뒤 ‘21세기의 새로운 고전’, 윤흥길 필생의 역작’ 등 수식어도 따라왔다. 간담회 내내 겸양을 보이던 그는 “‘필생의 역작’이라는 말에는 수긍할 수 있다”며 “내 모든 힘을 기울여서 노력 끝에 낸 작품”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불친절한 문장’은 우리 민족 특유의 정서를 담는 판소리의 율조를 최대한 느끼게 하기 위해서다.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문장에 익숙해지면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소설 ‘문신’의 모티브는 오래 전부터 작가 안에 있었다. 윤 작가는 “역사적으로 오랜 전통 갖고 있는데 시대가 변하면서 내용은 증발하고 형태만 남아있는 게 있다”며 “어릴 적 6·25 전쟁 때 입영 통지를 받은 동네 형들이 팔뚝이나 어깨에 이름을 새기는 것을 봤다”고 말했다. 어린 시절 호기심으로 남았던 광경이 ‘부병자자(赴兵刺字)’ 풍습이라는 것을 알게 된 건 먼 훗날 ‘한국인의 의식구조’라는 책을 읽으면서다. 제목 '문신'은 전쟁에 나가 죽으면 시신으로라도 고향에 돌아와 묻히고 싶다는 염원으로 몸에 문신을 새기는 '부병자자' 풍습에서 따왔다.
윤 작가는 “살아 돌아오면 다행이고 전쟁터에서 죽더라도 가족들이 시신을 식별해 고향 선산에 묻어주길 바라는 소망이 투영된 것”이라며 “일제강점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역사적 사건 속에서도 그 풍습이 있었다고 추측해 발상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구상부터 자료 조사, 집필까지 25년이 걸렸다. 윤 작가는 원동력을 두고 어디까지나 생활이 원동력이라면서도 “돌아 보니 안 쓰고는 배기지를 못했다”고 말했다.
한국 문학계의 유행화된 경향성에 대해서는 “어느 날 여름에 거리에 나갔더니 모든 여성들이 새까만 복장을 하고 있어 놀라서 물어보니 검은 옷이 유행이라고 하더라”며 “한 나라의 문단이 ‘한 여름 검은 옷’ 일색처럼 유행이 대세를 이룬다면 불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작가는 등단 56년차를 맞았다. 비슷하게 등단했던 많은 소설가들이 작고하거나 절필한 가운데 계속해서 소설을 쓸 수 있는 건 체력도 한 몫 한다. 그는 “다른 예술은 접한 게 없지만 기계체조부터 축구, 배구까지 운동을 즐기며 체력을 길렀다”며 “밤낮 바꿔가며 쭉 쓸 수 있는 것도 체력 덕분”이라고 말했다. 야간에 주로 소설을 쓰는 그는 여전히 밤을 새고 하루에 최대 수십 장의 원고를 쓰기도 한다. 그는 “조선 말 무렵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을 준비 중”이라며 “젊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소설이 ‘어떤 문제를 다뤄야 하는가’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정혜진 기자 madei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건국 전쟁 덮으려고 분풀이한다'…'파묘' 저격한 김덕영 감독
- '이 나이 먹고 편의점 알바해요'…2030 사이에 '프리터족' 뜨는 이유는
- '아이 낳으면 정년 연장하자'…한은 간부의 '파격적 제안', 내용 살펴보니
- “뭐하려고 했더라” 스마트폰 달고사는 2030 '영츠하이머' 주의보 [일터 일침]
- 밤마다 '드르렁'…코골이 심한 당신, '이 식단'으로 바꾸면 고칠 수 있습니다
-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요즘 증시, 카지노 같아”…투자 경종 울렸다
- 韓축구 임시감독에 '쌀딩크' 박항서 유력
- 너도나도 '하이브리드' 탄다더니…신규 등록 경유차 10%대 추락
- '급발진' 주장하더니…여고생 숨지게 한 70대, 국과수 증거에 '과실 인정'
- 러시아 우크라 침공 2주년…젤렌스키 '승리하겠다' 항전 의지 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