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년 중립’ 스웨덴, 나토 32번째 동맹국 된다

노지원 기자 2024. 2. 27. 14: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0여년 동안 중립을 지켜온 북유럽 국가 스웨덴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32번째 동맹국이 된다.

26일(현지시각) 헝가리 의회는 스웨덴의 나토 가입에 관한 의정서 비준 동의안을 찬성 188표, 반대 6표로 통과시켰다.

결국 지난달 튀르키예 의회가 스웨덴의 나토 가입 의정서 비준 동의안을 통과시켰고 '튀르키예의 뒤를 따르겠다'던 헝가리도 마침내 절차를 마무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이 26일 수도 스톡홀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소를 짓고 있다. AFP 연합뉴스

200여년 동안 중립을 지켜온 북유럽 국가 스웨덴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의 32번째 동맹국이 된다.

26일(현지시각) 헝가리 의회는 스웨덴의 나토 가입에 관한 의정서 비준 동의안을 찬성 188표, 반대 6표로 통과시켰다. 지난 2022년 2월 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면침공 뒤 직접적인 안보 위협을 느낀 스웨덴이 석 달 뒤인 5월 핀란드와 함께 나토 가입서를 낸 지 21개월 만이다. 기존 나토 회원국 중 유일하게 가입 동의를 하지 않고 있던 헝가리도 찬성해, 스웨덴은 나토 가입 마지막 허들을 넘었다. 나토는 스웨덴을 동맹으로 품으면서 전략적 요충지로 꼽히는 발트해에서 러시아를 완전히 포위하는 형세를 갖추게 됐으며, 유럽 안보 지형은 큰 변화를 맞게됐다.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는 이날 수도 스톡홀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스웨덴은 이제 200년 동안의 중립, 비동맹을 뒤로 한다”라며 “이는 매우 큰 진전이고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하지만, 또한 매우 자연스러운 발걸음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총리는 의회 표결에 앞서 “스웨덴과 헝가리의 군사 협력, 스웨덴의 나토 가입은 헝가리의 안보를 강화한다”라고 말했다.

스웨덴의 나토 가입은 지난해 4월 먼저 동맹에 합류한 핀란드보다는 열 달 가량 지체됐다. 나토 가입을 위해서는 동맹국의 만장일치 동의가 필요한데, 그동안 나토 동맹국 가운데서는 상대적으로 러시아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던 튀르키예, 헝가리 두 나라가 정치적 이유로 의회 비준을 미뤘기 때문이다.

튀르키예는 자신들이 테러집단으로 여기는 쿠르드족에 대한 스웨덴 정부의 미온적 대응에 불만을 제기하면서 어깃장을 놨고, 이에 스웨덴은 반테러리즘 법안 강화 등 요구사항을 들어주고 튀르키예의 유럽연합(EU) 가입도 지원하기로 하면서 갈등은 봉합됐다. 결국 지난달 튀르키예 의회가 스웨덴의 나토 가입 의정서 비준 동의안을 통과시켰고 ‘튀르키예의 뒤를 따르겠다’던 헝가리도 마침내 절차를 마무리했다.

앞으로 헝가리 대통령이 의회의 비준을 보증하는 서한에 서명하고 이를 미 국무부에 보내기만 하면 스웨덴은 공식적으로 나토의 32번째 동맹국이 된다. 러시아 외에 발트 해를 둘러싼 모든 나라가 나토 동맹의 일원이 되는 셈이다. 미국 정부는 “스웨덴이 나토에 가입하면 미국은 더 안전해질 것”이라며 헝가리 정부를 향해 남은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 지을 것을 촉구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