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본 사람 클릭금지"…'파묘', N차 관람 부르는 숨은 의미 해석[이슈S]

강효진 기자 2024. 2. 26. 20:1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파묘. 제공ㅣ쇼박스

[스포티비뉴스=강효진 기자] 영화 '파묘'가 개봉 이후 올해 최단 2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파죽지세로 흥행을 이어가는 가운데, 관람 후 '파묘' 속 숨은 상징들을 찾아보고 놀라워하는 관객들이 N차 관람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난 22일 개봉한 '파묘'는 거액의 돈을 받고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오컬트 미스터리 영화다.

이번 작품은 겉으로는 미스터리 오컬트 영화를 표방하고 있지만, 관람 후에는 강한 '항일' 메시지가 담겨있는 것을 알게 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특히 관람 전엔 미처 알지 못했던 몇 가지 상징들이 이미 관람한 관객들 사이 암암리에 회자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하 스포일러 주의

첫 번째는 등장 인물들의 이름이다. 김고은이 연기한 무당 화림, 이도현이 맡은 봉길, 최민식의 풍수사 상덕, 유해진의 장의사 영근은 모두 실존했던 독립운동가 김상덕, 이화림, 윤봉길, 고영근의 이름에서 따왔다. 또한 보국사를 만든 스님의 법명 원봉 역시 의열단장 김원봉과 같다.

김고은 역시 이에 대해 "감독님이 촬영 중반 쯤 얘기해주셨다. '사실은 등장인물 이름을 다 독립운동가 이름으로 한 것이다'라고 하시더라. 저도 화림에 대해서는 화림이란 이름의 독립운동가 분이 계시냐고 물어봤었다"고 밝혔다.

세심하게 본다면 극 후반부 상덕이 휘두르는 나무 막대에 빼곡하게 써있는 이름 역시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숨겨진 간판과 차 번호판의 의미다.

유해진이 운영하고 있는 장의사는 의열단을 떠올리게하는 의열 장의사다. 또한 후반부에 등장하는 절인 보국사는 나라를 지킨다는 의미를 갖는다.

영화 속에 나오는 '파묘' 멤버들의 차량 번호 역시 관객들을 소름돋게 만든 지점이다. 상덕과 영근의 차 번호는 0815, 화림과 봉길의 차량은 0301, 시신 운구차 뒷 번호는 1945로 각각 광복절, 3·1절, 광복이 된 해를 의미해 눈길을 끈다.

김고은 역시 "번호판은 저도 영화를 보고 알았다. 촬영하면서 번호판을 제가 못봤던 것 같다"며 놀라움을 표하기도.

▲ \'파묘\' 스틸. 제공|쇼박스

세 번째는 '여우와 범' 상징이다.

'파묘'의 중요 대사로 "여우가 범의 허리를 끊었다"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여우는 극 중 묫자리를 지정한 일본 스님 기순애를 뜻한다. 기순애는 일본어로 키츠네(きつね) 즉 여우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따왔다.

대한민국 지도는 대대로 범의 형상을 했다고 표현되고 있다. 이에 빗대 여우가 호랑이의 허리를 끊었다는 것은, 기순애가 호랑이의 허리에 해당하는 지점에 쇠말뚝을 박아 나라의 정기를 끊으려 했다는 미스테리한 비화를 반영한 에피소드로 해석된다.

네 번째는 음양오행이다.

엔딩에서 쇠말뚝 그 자체인 일본 정령을 없애기 위해 상덕이 피 묻은 나무를 사용하며 "젖은 나무는 쇠를 이긴다"고 표현한다. 음양오행의 개념을 집어넣은 것인데, 오행은 목(木, 나무) 화(火, 불) 토(土, 땅) 금(金, 쇠) 수(水, 물)를 의미한다. 다섯 가지 요소들이 서로 상생하거나 상극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이용해 수와 목 성질을 가진 젖은 나무가 금 성질을 가진 쇠말뚝 정령을 이길 수 있었다는 해석이다.

▲ 파묘 최민식 스틸. 제공| 쇼박스

다섯 번째는 최민식이 던진 100원짜리 동전이다.

험한 묫자리를 정리하며 상덕이 묫자리에 100원짜리 동전을 던진다. 이 장면에서 '명량'의 이순신을 연기한 최민식이 100원짜리 동전을 던지는 장면이 인상깊었다는 관객들의 반응이 이어진 바 있다.

그러나 이는 감독이 의도한 것이 아닌 우연이라고. 장재현 감독은 해당 장면에 대해 "캐스팅 할 때는 생각하지 못했다. 묫자리 값을 주는 장면이다. 나쁜 곳일 수록 10원짜리나 이런 것을 실제로 던지고 온다. 10원 짜리로 하려고 했는데 흙색과 겹쳐 잘 보이지 않아 100원짜리를 쓰게 됐는데, 뒷면이 이순신 장군이지 않나. 그 때 처음으로 '아 그 느낌이 있구나' 했다. 저에게는 '명량'이 오래된 영화라 생각하지 못했다. 그런 이미지가 도드라지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나보다. 오히려 아버지같은 느낌이 맞아서 캐스팅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스포티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