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딩들의 백화점’에 엄마들이 더 신났네…초저가 공세에 대형마트 울상

박창영 기자(hanyeahwest@mk.co.kr) 2024. 2. 25. 19: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존위기 유통공룡
(上) 변곡점에 선 유통업
500~5000원 균일가 다이소
매장수 1500개 매출 3조 돌파
온라인선 테무·알리 파상공세
다이소 매장 [사진 = 연합뉴스]
할인점이란 이름으로 시장에 자리잡았던 대형마트가 초저가를 앞세운 신규 유통 채널들의 공세에 맥을 못추고 있다. 오프라인에선 5000원 이하의 상품만 파는 다이소에 치이고, 온라인에선 로봇청소기를 3000원에 파는 알리익스프레스나 테무 같은 중국 직구몰에 밀린다.
25일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다이소 매장은 직영점 1022개, 가맹점 497개로 총 1519개다. 이는 2020년 1339개에서 3년 만에 180개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같은 대형마트 3사의 점포는 423개에서 396개로 오히려 27개가 줄었다. 지난해 이마트와 롯데마트 매출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 이상 줄어든 반면, 다이소는 10%가량 성장하며 3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이소는 ‘초저가’를 앞세워 대형마트를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이소는 모든 상품을 500원, 1000원, 1500원, 2000원, 3000원, 5000원이라는 6가지 균일가에 맞춰 판다. 상품 개발 단계에서부터 균일가에 맞춰 대량으로 구매하기 때문에 기존 유통업체에서는 가격 경쟁에서 적수가 되지 못하는 형국이다.

2021년 다이소가 뷰티 영역으로 확장한 이후로는 대기업 화장품 유통채널까지 긴장하는 모양새다. 지난해부터 다이소에서 품절대란을 빚는 VT리들샷이 대표적이다. 화장품 업체 VT가 납품하는 이 상품은 다이소에서 2㎖ 6개 묶음 세트를 3000원에 판다. CJ올리브영에서는 같은 회사의 VT리들샷100에센스 50㎖를 3만2000원에 판매한다. 제품 성분 등에서 다소 차이가 나지만 단순 용량만 비교하면 가격차가 2.5배 이상 난다.

다이소 매봉역점 뷰티 코너 [사진 제공 = 다이소]
오프라인에서 다이소에 고전하는 대형마트는 온라인에선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를 비롯한 중국의 직구 쇼핑몰의 집중 공격을 당하고 있다. 유통업계는 쿠팡에 이어 알리와 테무가 3강을 이루는 형태로 조만간 국내 온라인 쇼핑몰 시장을 재편할 것이라고 관측한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 종합 쇼핑몰 사용자 집계에서 알리익스프레스는 총 717만명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5위 테무는 4위 G마켓과의 격차를 110만여명에서 10만여명으로 급격히 줄였다. 중국 쇼핑앱이 현재와 같은 증가세를 유지한다면 올해 안에 쿠팡에 이어 2, 3위를 차지하는 것도 시간문제다.

알리와 테무는 한국고객을 유인하기 위해 대대적인 물량공세에 나섰다. 알리가 최근 한국산 상품 판매 섹션인 K베뉴 입점 판매자를 공개 모집하며 입점·판매수수료를 면제한 것이 대표적이다. 알리는 지난해 한국시장 마케팅·물류에 1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테무는 초저가인 알리보다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경쟁한다. 지난해 신규 가입자를 추천한 회원에게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5만~수십만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국내 가입자를 확보했다. 여기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모기업 핀둬둬홀딩스의 천문학적 마케팅 비용 집행이 있을 것으로 업계는 추정한다.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하지도 않았다고 유통업계는 우려한다. 알리바바그룹의 B2B(기업간거래) 쇼핑 플랫폼 1688닷컴이 한국어 버전을 내놓기 위한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1688닷컴은 도매 쇼핑몰의 특성상 알리보다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공급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를 B2C(기업-소비자 거래)까지 확장한다면 국내 다수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아울러 중국판 유니클로인 쉬인과 틱톡의 이커머스 틱톡샵도 한국시장 확장을 노리는 모양새다. 틱톡샵은 창작자가 콘텐츠에 제품을 등장시키면 틱톡 앱 내에 상품이 노출돼 즉각 구매로 이어지게 만든 서비스다. 틱톡코리아는 지난해 말 틱톡샵의 상표를 출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는 중국 쇼핑몰이 쿠팡까지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는 “한국에서 알리가 단기적으로 쿠팡을 이기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알리가 한국에서 물류 서비스를 직접 하든, 대기업과 손을 잡든 신속배송 체계를 갖추면 상황이 복잡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