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하게 딥키스도 하는 ‘이 동물’···짝짓기도 인간처럼 한다? [생색(生色)]

강영운 기자(penkang@mk.co.kr) 2024. 2. 24. 09: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색-22] 보노보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입니다. 유전적 일치율이 98%에 달하기 때문입니다. 인관과 이 정도 동질성을 가진 동물은 침팬지정도 뿐입니다. 인간과 보노보는 약 700만~800만년 전 공동의 조상에서 분리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유전적 동질성 때문일까요. 보노보는 여러모로 우리 인간과 닮았습니다. 특히 사랑하는 모습에서 그렇습니다. 보노보는 우리 인간을 제외하고 동물 중 유일하게 혀를 사용해 키스합니다. 교미도 서로 얼굴을 맞대고 하는 ‘정상위’를 할 줄 아는 유일한 동물(인간제외)입니다.

이탈리아 화가 프란체스코 하예즈의 1859년 작품 ‘키스’.
그들은 우리 인간만큼이나 섹스를 좋아합니다. 어쩌면 우리보다 더 좋아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성별과 나이를 가리지 않고 수시로 교미를 하기 때문입니다. 사랑을 상징하는 날인 밸런타인데이가 공교롭게도 세계보노보의 날이기도 합니다. 보노보의 성으로 안내합니다.
“안녕, 사촌인 인간들”. 보노보 수컷. [사진출처=natataek]
협력의 동물 보노보...그 비결은 ‘교미’
여기는 보노보의 주 서식지인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입니다. 보노보 여럿이 무리를 지어서 다니고 있지요. 이들 대부분은 암컷입니다. 보노보는 주로 암컷끼리 무리를 지어 다니고, 이따금 수컷과 함께 어울립니다. 일종의 ‘모계사회’로 운영이 되곤 하지요.
집단으로 뭉친 보노보 무리. [사진출처=Wcalvin]
보노보는 사회성이 높기로 유명한 동물입니다. 전혀 관계가 없는 그룹끼리 협력할 정도로 서로 믿고 의지합니다. 두 그룹은 서로의 털을 골라주고, 먹이를 공유하며, 공동의 적과 함께 싸웁니다.

보노보들이 높은 사회성을 유지하는 특별한 비결은 ‘교미’입니다. 서로 유대를 쌓을 때도, 갈등을 해결할 때도, 화해한 이후에도 이들은 교미합니다.

“어이 인간 우리가 사촌이라는데 ㅎㅎ” [사진출처=Wcalvin]
나이와 성별도 가리지 않습니다. 교미의 진입장벽이 무척이나 낮은 것이지요. 나이 든 수컷이 어린 암컷과 교미하기도 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종종 목격됩니다. 수컷끼리 성기를 비비는 행위가 자주 목격되기도 했습니다. 암컷 역시 음핵을 맞대고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아가지요.
이들의 교미엔 특별한 것이 있다
이들의 교미는 그 ‘자세’에서도 무척이나 특별함을 자랑합니다. 모든 동물이 암컷의 뒤에서 수컷이 올라타는 ‘도기 스타일’(후배위)을 취하는데, 이들만 유일하게 얼굴을 맞대고 사랑을 나눕니다.

또 혀를 사용해 키스하는 모습마저도 우리 인간을 닮았습니다. 일본의 유명한 영장류학자인 카노 다카요시는 “수컷 보노보들 사이에서도 키스와 구강 교미를 하는 모습이 관찰됐다”고 기록했습니다.

“이게 보기보다 쉬운 게 아니에요.” 교미 중인 보노보. [사진출처=Rob Bixby]
성적 풍요로움이 평화를 낳습니다. 보노보는 자신의 또 다른 친척인 침팬지보다 덜 폭력적입니다. 침팬지는 치명적인 공격으로 동족을 잔인하게 살해하곤 하지만, 이런 일은 보노보 사회에서는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화가 나더라도 이들은 우선 교미부터하고 봅니다. ‘몸의 대화’는 공격성을 낮추고, 이들은 다시 평화로운 관계로 돌아가지요. 갈등의 구조에서 침팬지가 공격을 선택할 때, 보노보는 섹스라는 유화책을 꺼내 드는 셈입니다.

사교적인 보노보. [사진출처=Pierre Fidenci]
평화의 동물 ‘보노보’
보노보가 평화의 동물이라는 건 과학적으로도 증명됩니다. 보노보의 뇌를 관찰했더니, 타인의 고통을 감지하는 공감이 뛰어났기 때문입니다. 공격성을 제어하는 부위도 활성화 되어 있었지요.

(물론 프란스 드발과 같은 대학자는 이같은 생각에 작은 반기를 들곤 합니다. “보노보가 평화를 위한 섹스를 하는 건 사실이지만, 지나친 낭만화는 경계해야 한다.”)

“엄마, 아빠가 누구냐고요” “몰라 인석아.”[ 사진출처=Christina Bergey]
보노보 암컷이 유독 많은 수컷과 교미를 하는 건 본인의 새끼를 살리려는 전략이라는 해석도 존재합니다. 많은 수컷과 교미를 하면, 아비가 누군지 알 수 없게됩니다. 많은 수컷은 자기 새끼일 약간의 가능성 때문에라도 새끼를 해칠 수가 없게 되는 것이지요. 암컷에게는 ‘영아살해’를 피하기 위한 전략인 셈입니다.

(그러나 다른 수컷의 새끼를 차지하고 암컷을 차지하는 침팬치와 달리, 보노보 사회에서는 ‘영아 살해’가 아직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이 이론도 아직 완벽하지 않은 것이지요)

분명한 건 보노보가 일생동안 사랑을 나누는 존재라는 점입니다. 번식기에만 새끼를 치는 다른 동물들과 달리 이들은 사는 동안 교미를 멈추지 않습니다. 이미 새끼를 낳는 일이 불가능한 노년의 보노보도 교미를 하는 데 주저함이 없지요.

번식을 위한 교미를 넘어선 무언가를 보노보도 하는 것이지요. 쾌락을 위한 섹스는 오직 인간의 전유물이라는 건 오만한 생각일지 모릅니다. 발칙한 상상을 해봅니다. 보노보가 공동체를 평화롭게 유지하는 비결이, 어쩌면 우리 사회에도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일지도 모르겠다고.

“여러분 사랑하세요, 저희처럼요”[사진출처=DBeaune]
<세줄요약>

ㅇ보노보는 발정기 없이 평생 교미한다. 인간처럼 키스도 하고, 얼굴 보면서 한다.

ㅇ암수, 노소 안가리고 수시로 한다.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는 도구로 ‘교미’를 활용하는 것이다.

ㅇ보노보는 그렇게 평화로운 존재가 됐다.

<참고문헌>

ㅇ프란스 드발, 영장류의 평화만들기, 새물결, 2007년.

생명(生)의 색(色)을 다루는 콘텐츠 생색(生色)입니다. 동물, 식물을 비롯한 생명의 성을 주제로 외설과 지식의 경계를 넘나듭니다. 가끔은 ‘낚시성 제목’으로 지식을 전합니다. 기자 페이지를 구독해주세요. 격주 주말마다 재미있는 생명과학 이야기로 찾아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