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발 AI 열풍에 미 · 일 도전까지…갈 길 바쁜 한국

김지성 기자 2024. 2. 23. 20: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한 뒤 관련 기업들 주가가 크게 오른 것인데요.

전 세계 AI 반도체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한 엔비디아는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총이익이 1년 전보다 각각 265%, 769% 급증했습니다.

엔비디아 CEO는 생성형 AI가 결정적 전환점에 도달했다며 AI 반도체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낙관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발표한 뒤 관련 기업들 주가가 크게 오른 것인데요. 전 세계 기업들이 반도체 개발에 도전장을 내밀면서 우리 반도체 기업들의 갈 길도 바빠졌습니다.

김지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전 세계 AI 반도체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한 엔비디아는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총이익이 1년 전보다 각각 265%, 769% 급증했습니다.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에 주가는 16% 넘게 폭등했습니다.

하루에 증가한 시가총액이 미국 증시 역대 최대인 약 361조 원, SK하이닉스 전체 시가총액의 3배 규모입니다.

엔비디아 CEO는 생성형 AI가 결정적 전환점에 도달했다며 AI 반도체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고 낙관했습니다.

[젠슨 황/엔비디아 CEO : 우리 기술은 엔터테인먼트부터 컴퓨팅, 생물학, 건강 관리, 기후 테크, 자율주행에 이르기까지 모든 산업에 동력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들은 AI 반도체 시장이 2030년이면 현재의 10배에서 20배까지 커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인텔은 올 연말부터 1.8나노급, 2027년에 1.4나노급 반도체 양산에 들어간다고 발표했습니다.

반도체의 회로 선폭을 뜻하는 나노 단위가 작을수록 처리 속도가 빨라지는데, 반도체 위탁생산, 즉 파운드리 세계 1, 2위인 TSMC와 삼성전자의 기술 수준을 단숨에 따라잡겠다는 구상입니다.

[팻 겔싱어/인텔 CEO : 우리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대형 파운드리 기업이 되자고 했습니다.]

엔비디아와 애플 등 대형 고객을 확보한 TSMC는 앞서가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약 20조 원 규모를 수주한 인텔의 추격에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이 쫓기는 모양새입니다.

여기에 TSMC와 손잡고 반도체 부활에 나선 일본까지 가세하고 있어 국내 반도체 기업들로서는 기술 개발과 투자는 물론 글로벌 테크 기업들과의 협력이 한층 중요해졌습니다.

(영상편집 : 이상민, 디자인 : 조성웅)

▷ '반도체 강국' 부활하나…TSMC 공장 들어선 일본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548241]

김지성 기자 jisung@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