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적] 윤석열식 ‘민생 사용법’
요즘 윤석열 대통령 입에서 떠나지 않는 말이 ‘민생’이다. 그는 22일 경남 창원시에서 지역 기업인들을 만나 “원전이 곧 민생”이라고 말했다. 올 들어 자그마치 14번째 이어온 ‘민생토론회’ 자리였다. 지난 18일에는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민생 현안 집중 등 제반 사유로 인해” 방문을 연기했다고 해명했다고 한다. 국민들은 초유의 나흘 앞 국빈 정상방문 취소 사유가,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논란이 아니라 ‘민생’ 때문이었음을 비로소 듣게 됐다. 말의 사용 빈도로만 보면 가히 ‘민생 대통령’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윤 대통령은 해외 순방이 너무 잦다는 지적이 이어지자 지난해 12월26일 국무회의에서 “순방이 곧 일자리 창출이자 민생”이라고 말했다. 도대체 뭐지? 한국어를 이해하는 사람들이라면 고개를 갸우뚱할 수밖에 없다. 불과 두 달 전에는 순방이 곧 민생이라고 했는데, 이제는 민생을 위해 순방을 가지 않는다 했다.
윤 대통령에게 도대체 그 민생이란 어떤 의미를 갖는 말일까. 누군가가 어떤 말을 아무 곳에나 너무 자주 써서 그 의미가 불분명해지다 못해 상충되는 지경에 이른다면, 사회적 약속인 언어로서 의미가 없어지게 된다. 민생의 사전적 정의인 ‘일반 국민의 생활과 생계’에 그대로 집중해서는 발화자 의도를 파악하는 데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그럴 땐 맥락을 파악해야 하는데, 그와 가까운 이들이 그 말을 어떻게 쓰는지 보는 게 도움이 된다. 윤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김 여사 명품백 수수 문제로 갈등을 겪은 뒤인 지난달 29일 오찬 회동을 했을 때 동석한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말이다. “오늘은 민생 문제만 얘기했다.” ‘윤·한 갈등’이 격했던 때라 그 말을 그대로 믿는 이는 찾기 어려웠다. 명품백 물음에 민생 얘기로 빠져나간 것이다. 그렇다면 이제 윤 대통령이 민생이란 말을 쓸 때는 ‘명품백은 생각하지 마’라는 의미로 읽어야 할 것 같다.
민생만큼 그 쓰임이 구체적이지 않아 공허하고, 사람들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쓰이는 말도 없는 것 같다. 이런 식이면, 정치권도 언론도 이 말 사용을 자제하는 게 좋겠다.
손제민 논설위원 jeje17@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서부지법 판사실 발로 찬 남성, 전광훈과 손배 재판 ‘공동 피고인’
- “임시 공휴일 탓에 돌아버리겠네”···사장님들에게 무슨 일이
- 서울역에 설 명절 인사 왔다가 “내란 빨갱이” 항의 들은 국민의힘
- “김용현 ‘의원 아닌 요원’ 주장에 재판관들도 기가 찬다는 표정”
- 클리셰 비튼 ‘나의 완벽한 비서’…‘성별 전복’의 신선함과 역설 사이 [플랫]
- “내가 ‘국회요원’인지 몰랐어요” “계엄을 ‘게임’이라 우기겠네”
- 국민연금 300만원 이상 수급자 처음 나왔다··· 긴 가입기간·노령연금 연기제도 덕
- [한국갤럽]국민의힘 38% 민주 40%…3주째 오차범위 내 접전
- 장원영 한마디에 베스트셀러···‘초역 부처의 말’
- 마을 공터서 쓰레기 태우다 옮겨 붙은 불에 80대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