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민 58%, 北정부 금지한 모임 참여 경험…시민사회 발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에서 시민사회라 부를 영역이 극도로 협소하기는 하나 초기 형태로 볼 만한 움직임들이 생겨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통일 문제를 다루는 민간 기관 한하나로연구소가 22일 개최한 학술대회 '북한의 시민사회 실태 분석과 육성전략'에서 숭실평화통일연구원 이시효 연구위원은 북한이탈주민 150명에게 북한의 시민사회에 관해 물은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북한에서 시민사회라 부를 영역이 극도로 협소하기는 하나 초기 형태로 볼 만한 움직임들이 생겨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통일 문제를 다루는 민간 기관 한하나로연구소가 22일 개최한 학술대회 '북한의 시민사회 실태 분석과 육성전략'에서 숭실평화통일연구원 이시효 연구위원은 북한이탈주민 150명에게 북한의 시민사회에 관해 물은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서 응답자의 58%는 '정부가 금지한 모임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참여한 '금지 모임'이란 남한 드라마·영화 보기(38.7%), 남한 음악 듣기(28%), 함께 남한 사회나 정치적 이야기하기(12%) 등 주로 한국 문화와 관련됐다.
숭실평화통일연구원 전순영 전문연구원은 한국 드라마 등 시청의 경우 혼자서는 영상물 반입이 어려우므로 여러 명이 관여하게 되고, 이에 자연스럽게 지하 네트워크 형성으로 이어져 일종의 시민 참여 공간이 마련된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시효 연구위원의 조사에서 응답자의 12.7%는 북한 정권에 대항하는 모임이나 행위에 대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대다수는 당국의 시장 통제에 항의한 경험이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대항 경험 비율은 높지 않지만, 북한의 폐쇄성과 전체주의적 성격을 가진 정치적 압력에 대한 대항 모임이나 행위가 존재한다는 것은 시민사회 발아의 의미"라고 봤다.
강원대 통일강원연구원 정원희 전임연구원은 "1990년대 이후 북한에서 비공식 경제 확산, 외부 정보 유입, 경제관리체계 변화, 중산층 성장 등으로 시민사회의 잠재적 요인들이 존재했다"며 "다양성의 형태로 드러나는 비공식적 현상들이 시민사회의 맹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j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마라톤 심리·장고 끝 尹 재구속 결정…남세진 부장판사 누구 | 연합뉴스
- 고양시 대형마트서 카트 정리하던 60대 숨져…경찰 수사 | 연합뉴스
- 해외서 들여온 '개미'로 요리한 음식점…식약처에 적발 | 연합뉴스
- 창원서 새벽 아파트 화재 감지 반려견, 주인 잠 깨워 가족 구해 | 연합뉴스
- "옷도 못 입고 대피"…긴박했던 아파트 화학물질 누출 현장 | 연합뉴스
- 금강서 물놀이하다 실종된 20대…4명 모두 심정지 상태로 발견(종합2보) | 연합뉴스
- '평양 무인기는 V 지시?'…尹신병확보로 외환수사 급물살 전망 | 연합뉴스
- 김건희가 밀었다는 김상민…공천개입 의혹 밝힐 '키맨' 되나 | 연합뉴스
- 머스크의 xAI 챗봇 그록, 히틀러 찬양 글로 또 '뭇매' | 연합뉴스
- 토익 응시자 800여명 부정행위 돕다가…日서 中유학생 체포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