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우리는 어떤 축구를 할 것인가?…전력강화위의 결론에 생기는 걱정

황민국 기자 2024. 2. 22. 09: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해성 신임 국가대표전력강화위원장. 대한축구협회 제공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회의 브리핑에선 명쾌한 결론이 없었다.

화려한 수사를 배제한다면 국내 지도자에게 지휘봉을 맡기겠다는 의지만 보인다. 최근 해산된 클린스만호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였던 방향성은 이번에도 없었다.

정해성 신임 전력강화위윈장은 지난 21일 총 8가지(전술적 역량·선수 육성·지도자로 쌓은 성과·풍부한 경험·소통 능력·리더십·코칭스태프 구성·성적을 낼수 있는 능력)의 축구대표팀 감독 선임 기준을 밝혔다.

나름의 고민과 논의 아래 나온 이 기준들은 일견 2018년 9월 파울루 벤투 전 대표팀 감독의 선임 과정보다 까다롭게 느껴졌다.

당시 김판곤 국가대표 감독선임위원장(현 말레이시아 감독)이 지도자로 쌓은 성과(월드컵 지역 예선 통과 경험·대륙간컵 우승 경험·세계적인 수준의 리그 우승 경험)를 우선한 것보다 많은 부분을 검증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문제는 정 위원장이 지도자 검증에 앞서 필요한 첫 단계를 생략했다는 사실이다. 한국 축구에 어울리는 축구 철학 그리고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없었다.

예컨대 벤투 감독을 데려올 당시에는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한국 축구가 선보일 밑그림이 있었다. 바로 능동적인 축구다. 한국 축구가 강팀을 상대로 역습만 노리는 한계를 벗어나겠다는 목표 아래 그게 가능한 지도자를 찾았고, 그 지도자들이 쌓은 성과를 기준으로 검증했다.

물론, 벤투 감독은 모국인 포르투갈에서도 박한 평가를 받고 있었다. 하지만 하나의 일관된 흐름을 유지하는 뚝심은 인정할 만 했고, 월드컵 본선에서 우루과이와 가나, 포르투갈이라는 쉽지 않은 상대들을 넘어 16강이란 성과를 냈다.

방향성에 대한 고민이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면서 그 연속성을 유지하지 못한 것이 아쉽기만 하다. 영원한 라이벌인 일본이 패스에 기반한 축구라는 한 흐름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비교된다.

방향성 없는 검증은 이름값만 높은 지도자를 데려오는 명분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도 문제다.

불과 1년 전 위르겐 클린스만 전 감독을 선임한 과정이 그랬다. 클린스만과 함께 옷을 벗은 마이클 뮐러 전 위원장이 연속성과 경험, 동기부여, 팀워크, 환경적 요인 등을 거론했지만 지금 따져보면 무의미한 조건들이었다. 클린스만 감독이 스스로 밝힌 것처럼 자신의 감독직 제의를 받아들인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톱다운 방식으로 후보를 내려보낸 뒤 끼워맞춘 것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국내 지도자를 천명한 이번 전력강화위도 다시 정해진 후보로 나아가는 수순에 불과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전력강화위가 짜여지기 전에 이름이 나왔던 감독들의 발표가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의혹이 사실이라도 이상하지 않는 현실이 씁쓸하다.

황민국 기자 stylelomo@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