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파업 첫날, 주요 병원 수술 절반 줄여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하는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이 예고대로 20일 무더기로 병원을 이탈하면서 주요 병원의 수술실과 응급실 운영이 파행했다. 중증 환자가 몰리는 서울 ‘빅5′로 불리는 대형 병원(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서울삼성·서울성모)에선 새벽부터 환자들이 줄을 서거나 진료를 받지 못하고 발길을 돌렸다. 주요 병원들은 수술을 절반으로 줄이거나, 신규 입원 환자는 받지 않고 기존 환자의 퇴원을 앞당겼다.
20일 정부에 따르면, 주요 수련 병원 100곳(전공의 95% 근무)을 점검한 결과 19일 밤까지 전국 전공의 1만3000여 명 중 6415명(49%)이 사직서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 1630명(25%)은 출근하지 않았다. 사직서를 수리한 병원은 없다. 정부는 현재까지 전공의 831명에게 ‘업무 개시 명령’을 내렸다. 의료인이 정부 ‘명령’을 받고도 병원에 복귀하지 않으면 고발돼 면허 취소 등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정부가 “기계적인 법 집행”을 강조한 만큼 이번 집단행동이 의사들에 대한 무더기 수사와 기소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전국 의대 40곳에서도 학생들이 동맹 휴학 등으로 집단 행동에 나섰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근무지 이탈의 경우 세브란스병원과 성모병원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나머지는 소수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국군병원과 공공 병원 등이 (비상) 대응 체계를 갖췄다”고 했다.
전공의 대표자들인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이날 의사협회에서 긴급 임시 대의원 총회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한 전공의는 “환자를 두고 나오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는 사람이 많지만 (정부 측이) 전공의들을 ‘악마화’하고 있다”고 했다. 전문의를 따고 병원에 남은 임상 강사와 전임의들도 이날 “현재 상황에선 의업을 이어갈 수 없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