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대란 '카운트다운'…전공의 줄사직에 병원 체력전 돌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도권 5대 대형병원을 포함한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6500여명이 무더기 사직서를 제출하면서 의료대란 카운트타운에 사실상 들어갔다.
전공의 집단행동이 3주 이상 길어지면 응급실과 수술 운영에 큰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번 전공의 집단행동이 도를 넘은 것으로 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221개 수련병원 전공의 대상으로 '진료유지명령'을 내렸고 병원을 이탈한 것으로 확인된 전공의들에게는 '진료개시명령'을 내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도권 5대 대형병원을 포함한 전국 수련병원 전공의 6500여명이 무더기 사직서를 제출하면서 의료대란 카운트타운에 사실상 들어갔다. 전공의 집단행동이 3주 이상 길어지면 응급실과 수술 운영에 큰 차질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대한응급의학회는 20일 성명서를 통해 “대규모 의대 정원 증원 등 정부의 의료 정책 추진으로 발생한 의료계 현안으로 응급의료 이용 불편과 애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공의 집단사직 첫날부터 응급의료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에 우려를 표했다.
실질적으로 병원 내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은 20일 수술 건수가 평소의 3분2로 줄어들었고 세브란스병원도 절반 정도 줄어든 상태다. 오전 11시부터 세브란스 응급실은 환자를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치료 및 수술 시기를 놓칠 것이란 우려로 환자들이 몰려들면서 접수창구도 혼잡한 상태다. 전공의 업무를 대신 떠맡고 있다는 간호사들의 전언도 이어지고 있다.
각 병원은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했지만 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임시체계를 가동해 병원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은 2~3주로 추산된다. 전공의 공백 기간이 길어질수록 전공의를 제외한 전임의, 교수, 간호사 등의 업무 부담과 피로도가 가중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우선 국군병원 응급실 개방, 공공병원 연장 진료, 장기화 시 비대면진료 허용 등으로 의료공백 메우기에 나서고 있다.
20일 0시 기준 정부의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접수된 피해사례는 수술 취소 25건, 진료예약 취소 4건, 진료 거절 3건, 입원 지연 2건 등 총 34건이다.
정부는 이번 전공의 집단행동이 도를 넘은 것으로 보고 있다. 2020년에는 필수의료 분야를 제외한 집단행동이 시행됐지만 이번에는 이러한 행동방침 없이 무더기 사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를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정부들은 의료계 집단행동에 기세를 꺾어왔지만 이번에는 엄중한 대응을 지속적으로 예고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는 노규환 전 대한의사협회 회장의 말을 빌려 “의료계는 국민을 이길 수 없다”, “지난 정부처럼 넘어가지 않겠다”는 등의 말을 19일 참모진들에게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열린 국무회의에서도 의사증원은 필수의료 붕괴를 막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221개 수련병원 전공의 대상으로 ‘진료유지명령’을 내렸고 병원을 이탈한 것으로 확인된 전공의들에게는 ‘진료개시명령’을 내렸다. 이를 어겼을 땐 처벌하겠다고 예고하면서 대한전공의협의회는 20일 긴급 임시 대의원 총회를 열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오후 12시에 시작된 총회는 비공개로 진행됐으며 오후 5시쯤 마무리됐다. 사직서 제출 후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지며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만간 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문세영 기자 moon09@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