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넘은 '이강인 기사'와 챗GPT 시대 저널리즘
(지디넷코리아=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대중화되면 기자들의 일 중 상당 부분이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 적지 않다. 심하게는, 기자의 미래도 불투명하다는 경고를 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나는 챗GPT가 기자를 완전히 대체할 것이란 전망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발로 뛰면서 소중한 정보를 길어오는 기자의 역할(shoeleather reporting)은 쉽게 대체하기 힘들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기자나 언론의 미래가 안전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기자들이 관행적으로 일 하는 방식 중 상당 부분은 경쟁력을 잃을 수도 있다. 그 중 많은 일들은 챗GPT를 활용하는 게 훨씬 더 저렴하고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며칠 미친 듯이 쏟아지는 ‘키워드 이강인’ 기사들을 보면서, 이런 생각을 더 굳히게 됐다. 이런 기사를 쏟아낼 거라면 굳이 '사람 기자'를 쓸 이유를 찾기 힘들었다. ‘챗GPT 기자’가 훨씬 빠르고 안정적으로 기사를 잘 써낼 수 있어 보였다.
■ 독자들의 호기심 노린 교묘한 '키워드 낚시' 기사들
실제로 요즘 ‘키워드 이강인' 기사는 도를 넘어도 한참 넘었다. 미디어오늘 보도에 따르면 지난 15일 하루 동안 이강인 선수가 언급된 기사가 1천53건에 달했다. 100여 포털 다음 제휴사들이 하루 사이에 쏟아낸 기사가 이 정도다. 평균적으로 한 매체당 10건 이상 썼다는 의미다.
그 중 제대로 취재해서 새로운 소식을 전하는 기사는 거의 없었다. 대부분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마구 침소봉대한 기사들이었다.
대표적인 것이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주먹질을 했다는 기사였다. 이강인 가족이 에이전시에 갑질했다는 기사도 있었다. 어떤 기사엔 이강인 누나 사진까지 버젓이 올라와 있었다. 감정이 상한 이강인이 요르단과 준결승전 때 손흥민에게 패스도 하지 않았다는 기사도 있었다. 급기야 오늘은 '무속인이 본 이강인 올해 운세' 같은 말도 안 되는 기사까지 등장했다.
그 와중에 '이강인이 조만간 소속팀인 파르 생제르맹(PSG)에서 방출된다'는 허위뉴스는 불과 몇 시간 만에 70만 회 이상의 조회 건수를 기록했다.
이렇게 무차별적으로 쏟아진 것들 중 ‘사실 확인’을 제대로 한 기사는 극히 드물었다. 조선일보 분석에 따르면, 이강인이 손흥민에게 패스하지 않았다는 건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원톱 작전을 쓰느냐, 투톱 전략으로 임하느냐는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한국 저널리즘의 문제로 ‘묻지마식 인용보도’를 꼽는 사람들이 많다. 실제로 한국의 많은 언론들은 특정 키워드가 사회적 쟁점이 되면, ‘맹목적 인용보도’를 마구 쏟아낸다. 이런 보도가 얼마나 큰 사회적 폐해를 몰고 오는 지는 '이선균 사태’ 때 충분히 경험했다.
이강인 관련 보도를 통해 한국 언론의 또 다른 치부를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씁쓸했다. (챗GPT 시대가 되면 이런 보도는 모두 생성형 AI가 대신할 테니 그나마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 챗GPT 시대에 경쟁력 있는 언론이 되려면
생성형 AI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선 기자와 언론이 뼈를 깎는 변신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런 변신의 중심에는 ‘AI로 쉽게 대체하기 힘든 능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언론학 교과서에서 강조하는 기자의 기본부터 다시 성찰하는 것도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 같다.
미국의 언론학자 미첼 스티븐스는 ‘비욘드 뉴스-지혜의 저널리즘’을 통해 “언론의 미래는 5W에서 5I로 진화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통 언론의 전유물인 '단순 전달형' 기사는 이제 기자들의 전유물이 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앞으로 언론은 현명하고(Intelligent), 확실하게 이해를 하고(Informed), 해석적이며(Interpretive), 통찰력(Insight)있는 분석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깨우쳐주는(Illuminating) 기사로 승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티븐스는 이를 ‘지혜의 저널리즘'이라고 불렀다.
그렇다고 지금 당장 한국 언론에게 '지혜의 저널리즘’으로 무장하라는 것은 과한 요구일 것 같다. 하루 아침에 돌변하는 게 말처럼 쉽지는 않을 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소한 ‘이강인 키워드’가 뜬다고 해서 하루에 1천500건 이상 쏟아내는 관행은 버려야 할 것 같다.
지금 당장 챗GPT가 기자들의 일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다. 언론사나 챗GPT 개발사 모두 그 쪽으로 눈을 돌릴 이유도 아직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챗GPT가 언론계, 특히 기자들에게 던지는 질문은 결코 작지 않다. 특히 인기 키워드를 갖고 온갖 기사를 쏟아내는 관행을 빨리 탈출하지 않는 한, 챗GPT 시디에 한국 디지털 언론이 설 자리는 그리 넓어보이지 않는다.
[덧글]
오해를 피하기 위해 한 마디 덧붙인다. 칼럼에 '한국 언론'이라고 쓴 데 대해, "그럼 너는?" 혹은 '너희 매체는?"이라고 반문할 분이 있을 것 같다. 편의상 '한국 언론'이라고 쓰긴 했지만, 사실 스스로에 대한 성찰을 위해 쓴 글이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