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팍팍할 청년의 삶…주요 이슈는 경제 여건 악화와 주거 불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4년 새해도 청년들의 팍팍한 삶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이 올해 가장 중요한 이슈로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를 꼽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우선, 청년들은 올해 가장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슈로 '청년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41.2%)를 가장 많이 꼽았다.
가장 중요했던 그룹별 청년이슈를 물어본 결과, 대학생의 경우 '진로 불확실성 및 불안감으로 인한 졸업유예'(53.7%)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새해도 청년들의 팍팍한 삶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청년들이 올해 가장 중요한 이슈로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를 꼽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재단법인 청년재단은 대학생, 사회진입준비생, 직장인, 신혼부부 등 청년 그룹별로 체감하는 청년정책 및 청년이슈를 파악하기 위해 ‘청년정책·이슈 톺아보기’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앞서 재단은 리서치 전문업체 서던포스트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6일부터 14일간 전국 19~39세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우선, 청년들은 올해 가장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이슈로 ‘청년 경제생활 및 환경 여건 악화’(41.2%)를 가장 많이 꼽았다. ‘청년 주거 불안’(23.1%), ‘사회진출 지연 청년의 재도전’(21.9%), ‘세대 간 인식 격차 해소’(7.8%)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 가장 중요했던 이슈로는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25.1%)를 선택했다. 이어 ‘청년 주거 불안’(24.9%), ‘청년 부채 증가’(23.0%) 순으로 많았다. 다만, 이 질문에 대한 응답은 청년의 연령 및 청년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30세 미만과 대학생·사회진입준비생의 경우 ‘사회진출 지연 청년 증가’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30~34세와 직장인은 ‘청년 주거 불안’을, 35~39세와 신혼부부는 ‘청년 부채 증가’를 가장 중요한 청년이슈로 선정했다. 가장 중요했던 그룹별 청년이슈를 물어본 결과, 대학생의 경우 ‘진로 불확실성 및 불안감으로 인한 졸업유예’(53.7%)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사회진입준비생은 ‘니트족 증가’(36.6%)가 가장 많았고, 직장인은 ‘저임금 및 고용불안’(36.6%)을, 신혼부부는 ‘전세사기 피해 및 우려 증가’(30.4%)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한편, 응답자의 73.1%는 ‘청년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청년의 주요 관심 정책분야(복수응답)는 일자리(69.5%)가 1위를 차지했고, 주거(66.7%),복지(52.7%), 금융(47.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분야에 대한 관심도는 대학생·사회진입준비생에서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부가 집중 지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년 유형은 자립준비청년(33.2%)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돌봄청년(23.5%) △금융취약청년(11.5%) △고립청년(11.0%) △구직단념(NEET·니트)청년(8.5%) △장애청년(7.0%) △경계선지능청년(4.0%) △이주배경청년(0.6%) 등으로 집계됐다.
향후 청년정책의 방향성(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청년의 자립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49.6%)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다만 사회진입준비생의 경우 ‘청년 모두의 사회적 진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45.0%)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가장 컸다.
응답자들이 평가한 2023년 청년으로서의 삶(10점 만점)은 4~5점(33.4%)이 가장 많았고, 2024년의 삶은 ‘현재와 비슷할 것’(60.3%)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25.3%는 ‘현재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박주희 청년재단 사무총장은 "다수의 청년정책이 시행 중임에도 전국 단위의 청년정책 체감효과는 여전히 미미해 청년정책 전달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청년의 안정적인 자립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청년정책을 설정하고, 취약계층 청년을 비롯한 모든 청년이 사각지대 없이 정책에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노기섭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지민, 김준호와 선긋기?…“결혼 약속한 사이 아냐”
- 손흥민, 전지현과 또… 런던서 밝은 미소로 재회
- 성기 확대 수술 중 절단돼 성생활 못하게 된 남성…법원이 정한 배상금은?
- ‘승자의 저주’에 걸린 이재명… ‘공천 내전’ 확산 땐 리더십 휘청[허민의 정치카페]
- 박용진 “현역 하위 10% 통보…과하지욕 견디겠다”
- 조국 “한동훈, 조선제일설(舌)·중전호위제일검…지역구에서 민주당과 경쟁 안해”
- [속보] 이낙연, 이준석과 결별…“새미래로 복귀”
- 오늘부터 서울 500m 상공에 비행기 뜬다…대체 무슨 일?
- 이준석, 이낙연 결별에 “국민에게 사과…내가 성찰해야 할 일 많아”
- ‘넷플릭스 오찬 참석’ 김 여사…김경율 “활동 재개, 조금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