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 히로부미의 마지막 만찬 장소·백두산 천지…사진 속 역사

김예나 2024. 2. 20. 15: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36년 10월 발행된 사진집 '아동인화집'(亞東印畵輯)에는 중국 창춘(長春)의 한 건물을 찍은 사진이 담겼다.

총 3권으로 이뤄진 책은 1920∼1940년대에 나온 두 사진집을 토대로 한다.

당시 중국 다롄(大連)을 중심으로 활동한 아동인화협회가 펴낸 사진집 '아동인화집', 아세아사진대관사가 발행한 '아세아대관'(亞細亞大觀)의 사진 1천600여 면(장)을 지역별로 분류하고 정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20∼1940년대 사진 1천600여 장 정리한 '제국 일본이 본 동아시아'
일상부터 제국주의적 시각까지…"근대적 변화 전후한 모습 반영"
창업관(創業館) 1936년 10월 '아동인화집' 147회에 실린 사진 모습 [민속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1936년 10월 발행된 사진집 '아동인화집'(亞東印畵輯)에는 중국 창춘(長春)의 한 건물을 찍은 사진이 담겼다.

사진 아래에는 '근세사의 유서가 깊은 곳'이라고 적혀 있다.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1841∼1909)가 1909년 중국 하얼빈(哈爾濱)역에서 안중근(1879∼1910) 의사가 쏜 총에 맞아 쓰러지기 전날 만찬을 즐겼다고 알려진 장소다.

훗날 이곳은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고 기념하기 위해 개보수 공사가 이뤄진다.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창업관 모습을 비롯해 1920∼1940년대 옛 만주국 지역과 조선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정리한 자료집이 나왔다.

'아동인화집' 15회에 담긴 백두산 천지 모습 [민속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주성지 동북아역사재단 팀장과 김주용 원광대 한중관계연구원 부교수가 엮은 '제국일본이 본 동아시아: 만주ㆍ조선 편'은 약 100년 전 역사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총 3권으로 이뤄진 책은 1920∼1940년대에 나온 두 사진집을 토대로 한다.

당시 중국 다롄(大連)을 중심으로 활동한 아동인화협회가 펴낸 사진집 '아동인화집', 아세아사진대관사가 발행한 '아세아대관'(亞細亞大觀)의 사진 1천600여 면(장)을 지역별로 분류하고 정리했다.

조선과 지린(吉林), 랴오닝(遼寧), 헤이룽장(黑龍江)·네이멍구(內蒙古), 만주 등의 모습이다.

디지털 역사학과 한국 근대사를 전공한 두 엮은이는 사진을 확인해 촬영지를 분석하고 설명을 추가했다. 발행 당시 적혀 있던 사진 설명은 이해하기 쉽게 풀어썼다.

1924년 8월에 나온 '아동인화집' 1회 사진 [민속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총 1천700여 쪽에 달하는 자료집에서는 당시 삶과 역사적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사진으로 가득하다.

백두산 천지의 모습부터 금강산의 절경, 압록강 변 주민들의 생활, 정어리잡이 배로 가득 찬 항구, 포대기로 아이를 업은 여인 등 일상 모습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사진 곳곳에서는 일본의 제국주의적 시각도 엿볼 수 있다.

청일전쟁 때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격전지, 러일전쟁 당시 일본의 해군기지가 있었던 지역에 세워진 기념비 등이 대표적이다. 만주사변 발발의 원인이 된 주요 인물과 관련한 기념물 사진도 있다.

'아동인화집'과 '아세아대관'은 특히 하얼빈 역과 관련, '이토 공의 죽음이 회상되는 깊은 인상이 있다'고 설명하며 이토 히로부미와의 연관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금강산 채하봉 1924년 10월에 나온 '아동인화집' 속 사진

자료집은 약 10년의 노력이 담긴 결과물이다.

주성지 팀장은 개인 연구를 하며 디지털 역사 자료를 정리하던 중 2014년 10월 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누리집을 통해 '아동인화집'을 열람하게 됐다. 이후 '아세아대관'까지 확보해 김주용 부교수와 함께 사진을 정리하고 자료집을 완성했다.

주 팀장은 "역사 연구는 철저하게 고증되어야 하고, 사진 자료라는 사료에 대한 궁구(窮究·속속들이 파고들어 깊게 연구한다는 의미) 역시 고증의 절차"라고 밝혔다.

그는 "두 자료집은 동아시아의 근대적 변화를 전후한 시기 모습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는 '출처와 근거, 그리고 동시대성'을 가진 귀중한 자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각 536쪽, 672쪽, 544쪽.

책 표지 이미지 [민속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