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현장] 봄과 함께 찾아오는 꽃을 담은 전시…'입춘대길' 전

장선이 기자 2024. 2. 20. 12: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한자성어 '입춘대길'은 봄이 오면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길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봄과 함께 우리 곁을 찾아오는 아름다운 꽃을 담은 전시가 열렸습니다.

김병수, 김병종, 김지선, 송미영, 반미령, 이해경 여섯 작가가 각자의 색으로 담아낸 꽃은 관람객에게 성큼 다가온 봄 소식을 전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FunFun 문화현장]

<앵커>

봄의 시작을 알리는 한자성어 '입춘대길'은 봄이 오면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길 기원한다는 의미입니다. 봄과 함께 우리 곁을 찾아오는 아름다운 꽃을 담은 전시가 열렸습니다.

장선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입춘대길' 전 / 3월 4일까지 / 갤러리가이아]

소박한 그릇에 넘칠 듯 담뿍 담긴 진달래.

김병수 작가는 가지에 매달려 피어 있는 정적인 존재가 아닌 어딘가로 떠날 준비를 한 진달래를 그렸습니다.

끝없이 펼쳐진 하늘과 바다를 배경으로 이제 막 피어난 꽃과 그 꽃에 날아든 새는 무한한 시간과 공간 속 찰나, 생명의 소중함을 의미합니다.

반미령 작가는 빛이 가장 아름다운 시간 햇살에 비친 꽃을 캔버스에 담아냈습니다.

김지선 작가의 꽃은 장식과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성장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존재입니다.

[김지선/작가 : 화면 전체에 스케치 해놓고 채색을 들어가는 방식이 아니라 한 점에서부터 시작해서 뻗어 나가면서 마치 식물이 선적으로 자라나는 듯한 그런 작업 방식을 취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저도 그림을 그리면서 그렇게 성장하고 싶고.]

[윤여선/갤러리 대표 : 꽃과 풀이 어우러진 그림을 화훼도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꽃 그림은 일찍이 조선 초기부터 신사임당을 비롯한 많은 화가들이 즐겨 그렸습니다. 꽃은 길상으로서 꽃마다 좋은 뜻이 있습니다.]

김병수, 김병종, 김지선, 송미영, 반미령, 이해경 여섯 작가가 각자의 색으로 담아낸 꽃은 관람객에게 성큼 다가온 봄 소식을 전합니다.

(VJ : 오세관)

장선이 기자 sun@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