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그대로인데 탄소 배출량은 수십배 껑충··· '스코프 3'가 뭐기에 [biz-플러스]

조양준 기자 2024. 2. 20. 06: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코프 3' 의무화 임박
협력사 포함 배출량 산출해야
온실가스 감축비용도 대폭 늘듯
사진=이미지투데이
[서울경제]

“투자자들이 ‘스코프(Scope)3’라는 난제(conundrum)와 씨름하고 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최근 글로벌 인덱스 기관인 영국 FTSE 러셀이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짚었다. 스코프3은 기업의 공급망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숨어 있는’ 온실가스를 모두 파악해 기업이 고강도의 탄소 감축 작업에 나서게끔 한다는 것이 목적이다. 스코프3 배출량이 탄소 중립을 위해 감축해야 할 산업 ‘탄소발자국’의 80%를 차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그러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금융 분야의 유력한 기관인 FTSE 러셀조차 스코프3가 “측정 범위가 매우 방대해 과정이 너무 복잡하고 이에 따라 기업들이 제대로 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를 ‘난제’라고 표현한 것이다. 블룸버그는 “스코프3는 그만큼 풀기 어려운 문제”라고 분석했다.

스코프3 난제를 떠안은 기업들도 비상이 걸렸다.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공시 가운데 ‘스코프3’ 적용 의무화가 임박하면서다. 무엇보다 스코프 3는 해외 법인은 물론 기업의 공급망 안에 있는 협력회사도 포함되면서 대부분 기업들의 배출량이 수십 배씩 증가한다. 기업으로서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가 그만큼 커지게 돼 막대한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당장 스코프3를 적용하면 온실가스배출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19일 서울경제신문이 삼성전자와 현대차·LG전자·SK이노베이션 등 주요 기업이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2022년 기준)를 토대로 비교한 결과 삼성전자의 2022년 스코프 3 배출량은 1억 2472만 톤(tCO2-eq·이산화탄소환산톤)으로 현재의 기준(1505만 톤)보다 배출량이 8배 이상 높았다. 현재는 스코프 1(직접 배출)과 스코프 2(전력 사용 포함 간접 배출) 등을 합산해 배출량을 산출하고 있다. 여타 기업은 더 심각하다. 현대차의 스코프 3 배출량은 스코프 1과 2를 합친 수치보다 44배(238만→1억 579만 톤), LG전자(93만→6100만 톤)는 66배나 급증했다.

이에 재계는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나섰다. 감축 비용도 큰 부담이지만 밝혀야 할 배출량 기준도 너무 방대하고 그 과정에서 중복 산정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재계 관계자는 “투자자들이 ESG에 민감해 하는 상황에서 급증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시하는 것은 부담”이라며 "배출량 데이터가 없는 경우도 허다해 정확한 산정도 어렵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투자사들도 스코프 3를 ‘난제’라고 부르며 이것이 산업에 안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다음 달 스코프 3 배출량 공개를 포함한 ESG 공시 의무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이 같은 기업 현실을 고려해 스코프 3 적용을 유예하는 등 완충 장치를 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① ‘협력사의 협력사’ 온실가스 배출량까지 집계··· “측정 범위, 사실상 무한대”
사진 설명

기업들은 스코프3를 당장 적용하면 크게 3가지의 문제점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먼저 현재 통용되는 기준인 ‘GHG 프로토콜’에 따르면 스코프3 배출량의 측정 범위는 기업이 구매한 제품과 소유한 자본재, 임대 자산, 전·후방산업과 물품을 운송하고 유통하는 과정, 폐기물, 판매된 제품이 가공되고 사용되는 과정 등 모두를 포함한다. 한마디로 기업이 모든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뿐 아니라 회사 임직원이 출퇴근하며 생기는 온실가스, 또 국내와 해외로 출장을 다녀오며 이용한 교통수단에서 발생한 온실가스도 파악해야 한다.

② 데이터 확보부터 막대한 비용···배출기준 방대, 중복산정 우려도

이는 기업의 스코프3 배출량 파악의 난도를 크게 높이는 요인이다. 한 컨설팅 업체 관계자는 “스코프3가 확대 적용되면 협력사뿐 아니라 협력사의 협력사가 내놓는 온실가스까지 산정해야 한다는 것이 원칙”이라며 “사실상 측정 범위가 무한대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정부와 당국은 기업이 스코프3 배출량을 측정할 때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입장이지만 이 경우 거꾸로 배출량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 업계의 한 관계자는 “스코프3로 해도 스코프1·2와 겹쳐 중복 산정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스코프3의 배출량 공개를 포함한 ESG 공시 의무를 자산이 2조 원이 넘는 대기업 상장사에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그러나 이때도 문제는 남는다. 대기업 협력사의 상당수는 중소기업으로 결국 중소기업 역시 자기 회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부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협력사에서 자신들도 민감한 자료를 쉽게 공유하려 하지 않는다”고 했다.

대기업이 컨설팅 업체 등에 용역을 맡겨 배출량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업계는 토로하고 있다. 감축을 해야 할 배출량을 측정하는 것과 온실가스 감축에 드는 비용 모두 기업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 기업들이 넷제로(탄소 중립) 계획을 수립해 대대적인 탄소 감축에 나서는 만큼 배출 총량이 늘어난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탄소 감축 비용이 증가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③ ‘ESG 강화’ 美서도 완화 조짐···SEC 내부서 기후공시 걱정 토로

ESG 강화에 힘을 싣는 미국을 포함해 유럽연합(EU)과 호주·브라질·영국 등의 국가들이 스코프3 배출량의 공시 의무화를 선언했다. 중국도 2026년부터 500대 기업이 스코프3 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하는 ESG 공시 강화 방안을 최근 내놓았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다른 움직임이 감지된다.

당장 미국에서도 11월 대선 판세와 맞물려 스코프3 적용이 시기상조라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4월 확정할 예정인 기후 공시 기준에서 스코프3 적용을 완화할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은 “SEC의 기후 공시 정책 담당자들은 최근 미국 기업 최고경영자(CEO), 로비 그룹 관계자들과의 사적인 자리에서 스코프3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하면 법적 분쟁에서 SEC 기후 공시의 취약성이 커질 수 있다고 털어놓았다”고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하기도 했다. 공화당의 유력 대선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강력한 ‘반(反)ESG’를 강조하는 만큼 대선에서 그와 맞붙을 가능성이 높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기업 표를 의식해 한발 물러설 것이라는 의미다.

조양준 기자 mryesandno@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