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앞가림 먼저"···글로벌 중앙銀 '4년 금리 동행' 마침표

뉴욕=김흥록 특파원 2024. 2. 19.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화정책 각자도생 본격화]
인플레 둔화 속도 등 사정 제각각
팬데믹부터 이어진 정책연대 흔들
美, 6월까지 금리동결 전망 우세
뉴질랜드·日 1·2분기내 인상 유력
스위스는 조기 금리 인하론 힘얻어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한 슈퍼마켓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서울경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의 금리 인하부터 인플레이션 국면의 긴축까지 지난 4년간 보폭을 맞춰온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각자도생을 위한 출발선에 섰다. 인플레이션의 둔화 속도와 침체 가능성 등 각국이 처한 경제 상황이 제각각 갈리기 시작하면서다. 이르면 당장 이달부터 일부 중앙은행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과는 별개로 독자적인 정책 결정을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18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뉴질랜드중앙은행(RBNZ)은 이달 28일로 예정된 올해 첫 통화정책 결정 회의에서 금리 인상과 동결을 두고 고민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뉴질랜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7%를 기록해 RBNZ의 목표 범위(1~3%)를 여전히 두 배가량 웃돌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 민간 은행인 ANZ의 이코노미스트팀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RBNZ는 금리를 2월과 4월에 연속으로 인상할 것”이라며 “기준금리는 현재 5.5%에서 6%로 오른 뒤 금리 인하는 내년 2월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뉴질랜드는 기록적인 해외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임대주택 수요가 급증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졌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연간 이민 순유입은 12만 6000명으로 1979년 통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민정책이 완화하고 팬데믹이 끝나면서 필리핀과 피지, 중국, 남태평양 국가에서 인구 유입이 증가하는 추세다.

세계에서 이례적으로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 일본도 3~4월 중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본은 고질적인 저성장과 낮은 물가 상승률을 극복하기 위해 2016년 1월 기존 0%였던 단기 금리를 -0.1%로 내린 후 7년째 유지하고 있다. 그러다 지난해 물가 상승률이 3.1%로 41년 만에 가장 가파르게 오르면서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전환을 검토하고 나섰다.

뉴질랜드와 일본의 금리 인상 전망은 동결 또는 인하 수순에 들어선 다수 선진국 중앙은행과는 다른 방향이다. 미국 연준의 경우 지난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올해 금리 인하를 공식화한 후 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시장의 3월 인하론을 반박하면서 지금은 적어도 6월까지 금리가 현 수준에서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인하 시점 전망이 밀리고 있는 미국과 달리 스위스는 오히려 조기 금리 인하론이 힘을 얻고 있다. 스위스 통계청이 이달 13일 발표한 1월 스위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로 시장 전망치 1.7%를 크게 밑돌았기 때문이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2%로 더욱 낮았다. 이에 애초 9월 인하론이 스위스에서는 우세했지만 현재 3월 가능성도 고개를 들고 있다. EFG은행의 수석이코노미스트인 기안루이기 만드루자토는 “지표가 둔화하면서 스위스중앙은행이 3월 회의에서 정책 완화를 고려할 수 있는 여지가 더 커졌다”고 평가했다.

영국의 경우 통화정책 전망이 안갯속인 곳으로 꼽힌다. 영국은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0.3%로 지난해 3분기(-0.1%)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역성장하면서 기술적 경기 침체에 빠졌다. 침체 징후는 금리를 내릴 요인이지만 영국 중앙은행은 여전히 조기 인하를 주저하고 있다. 영국의 1월 CPI 상승률이 전년 대비 기준 4.0%로 여전히 목표의 두 배 수준이기 때문이다. 서비스 CPI는 6.5%에 이른다. 휴 필 영국 중앙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해 하반기 경제가 위축되고 영국이 기술적 침체를 맞고 있지만 반드시 인플레이션을 둔화시키는 요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며 “인플레이션을 지속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확신이 들 수 있을 때까지 몇 개월은 더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금융시장은 영국 중앙은행이 올 8월 첫 금리 인하를 시작한 후 올해 두 차례 기준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피에르 올리비에 구린샤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은 인플레이션 재상승 위험을 고려해 조기 금리 인하를 피해야 하지만 유로 지역은 금리 인하를 너무 지연시켜 성장을 위태롭게 하는 리스크를 더 관리해야 한다”며 “두 경우 모두 연착륙 경로를 유지하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할수록 각자도생의 기류가 선명해질 것으로 본다. 유럽과 북미·아시아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인구 증가율이나 에너지 수입 의존도, 공급망, 주택 수요과 공급 등 저마다 다른 구조적 문제에 맞서 통화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제임스 매킨타이어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이코노미스트는 “인플레이션에 맞서 싸우는 데는 각국 중앙은행의 연대가 있었지만 상황이 바뀌면서 개별 국가의 상황이 통화정책에 더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욕=김흥록 특파원 rok@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