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에, 건설사 10곳 중 7곳 “이자 감당도 벅차”.. “하반기 나아진다” 10곳 중 1곳, “더 무너지나?”
18.6% 불과.. 높은 금리·수수료 75.5%
건설사 부도·폐업 잇따라.. ‘4월 위기설’
“법정관리 현실화 때, 업계 타격 불가피”
부동산 시장 침체에 건설업 위기가 고조되면서, 건설업계가 벼랑 끝에 몰렸습니다.
장기화되는 고금리 여파 속에 상당수 건설기업들의 자금사정이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서 업체 부도와 페업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방 거점 건설사들이 미분양에 자금난으로 휘청이다 업계 전반으로 파장이 번지는 양상입니다.
업계에선 총선이 끝나는 오는 4월 중견 건설업체들이 대거 법정관리에 들어갈 것이란 ‘4월 위기설’까지 나돌고 있습니다.
급기야 상당수 건설기업들이, 번 돈으로 이자를 갚기 어려울 정도로 경영상황이 악화를 거듭한다는 조사결과까지 나왔습니다.
국내 매출 500대 건설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당장 이자 비용 부담을 버거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반기 자금 사정이 나아질 것으로 보는 곳은 10곳 중 2곳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매출 500대 건설기업(102개사 응답)의 재무담당 임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6.4%가 ‘현재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답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자금 사정이 양호하다’는 답변은 18.6%에 불과했습니다. ‘평년과 비슷하다’(43.1%), ‘곤란하다’(38.3%)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반기 자금시장 전망과 관련해선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인 52.9%가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악화할 것’이란 응답은 33.4%,‘ 호전될 것’이란 답변은 13.7%에 그쳤습니다.
한경협은 연말까지도 건설업종 자금난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자금 사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31.4%)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이어 ‘높은 차입 금리’(24.5%), ‘신규 계약 축소’(16.7%) 순으로 응답했습니다.
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를 묻는 질문에서, 응답기업의 76.4%는 현재 기준금리 수준(3.50%)에서 이미 임계치를 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현 기준금리 수준에서 여유가 있는 기업은 17.7%에 그쳤습니다.
특히 기업들이 자금 조달 때 느끼는 최대 어려움은 ‘높은 대출금리와 수수료’가 꼽혔습니다. 전체의 75.5%에 이르는 응답자가 자금 조달 과정에서 금리·수수료 부담을 가장 어려움이라고 답했습니다.
때문에 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금리 부담 및 수수료 수준 완화’(39.2%)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공급망 관리를 통한 원자재 가격 안정화’(16.7%),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규제 완화’(16.7%) 등을 들었습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부동산 경기 침체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건설기업들의 금융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자금사정이 악화되고 있다”면서 “건설업계가 한계상황을 이겨낼 수 있도록 금리‧수수료 부담 완화, 원자재 가격 안정화, 준공기한의 연장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자금난을 호소하는 건설사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건설·금융업계에는 4월 총선거 이후 건설사들이 무더기 도산할 수 있다는 ‘4월 위기설’이 끊이지 않는 실정입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과 대한주택건설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광주·울산·경북·경남·제주 지역을 거점으로 둔 전문건설사 5곳이 부도 처리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폐업한 건설사도 늘었습니다. 지난 1월 1일부터 이달 18일까지 폐업 신고한 종합건설사는 64곳, 전문건설사는 501곳으로 565곳에 달했습니다. 부동산 활황기이던 2021년 폐업한 업체가 361곳이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 문 닫은 업체 수가 크게 늘어난 셈입니다.
여기에 건설업이 얼어붙으면서 사업을 포기하는 업체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주택건설업 등록을 자진 반납한 건수만 해도 1995년 집계 이래 최대인 843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건설업계에 한파가 불어닥친 건 고금리로 늘어난 이자 부담과 원자재값 상승에서 원인을 찾고 있습니다.
건설업계 불황도 여전해 지난달 30일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1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달(5만 7,925가구) 대비 7.9%(4,564가구) 증가한 6만 2,489가구로 조사됐습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팔리지 않은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 857가구로 전달(1만 465가구) 대비 3.7%(392가구)가 늘었습니다.
지역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업계 내부적으로도 자체 부채 해결이 어려운 건설사들이 적잖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버티는 것도 한계 상태에 다다른 중견·중소 건설사들이 꽤 있다”면서 “실제 4월 위기설이 현실화될 경우, 파장이 클 수 밖에 없다. 업체 하나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연계된 하도급과 재하도급 등 서로 얽혀있는 업체들까지 포함하면 업계 전반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경제적 타격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