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미 나요" 비전프로 반품 행진…빈틈 노린 저커버그

홍영재 기자 2024. 2. 17. 07: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애플이 내놓은 신제품 '비전프로'가 화제였죠.

사전 예약만 20만 대에 달할 정도로 사람들 관심이 컸는데 최근에는 반품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마크 저커버그/메타 CEO : (메타 제품) 퀘스트는 더 편합니다. 우리는 120g은 더 가볍게 만들었습니다. 이건 정말 (비전프로와 비교해) 얼굴에 착용하는데 큰 차이점을 줍니다.]

가격은 비전프로의 7분의 1에 불과하다는 점도 강조했는데, 차세대 확장현실 기기 주도권을 쥐기 위한 신경전으로 해석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최근, 애플이 내놓은 신제품 '비전프로'가 화제였죠. 사전 예약만 20만 대에 달할 정도로 사람들 관심이 컸는데 최근에는 반품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뭔지 홍영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운전 중인 미국의 한 IT 유튜버, 목적지는 애플 스토어입니다.

[유튜버 'Dr Know it all Knows' : 애플 스토어에 가고 있습니다. 애플 비전프로를 환불하러 가는 길입니다.]

사용할 때 주의력을 뺏기는 점을 반품 사유로 들었습니다.

[유튜버 'Dr Know it all Knows' : 비전프로를 사용할 때마다 일종의 죄책감을 느꼈습니다. '아내나 아이들이 질문을 하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계속 들었습니다.)]

사전 예약만 20만 대에 달할 정도로 큰 관심을 받았지만, 실제 사용해 보니 기기가 크고 무거워서 두통과 멀미를 유발하는 게 반품의 큰 이유라고 현지 매체들은 분석했습니다.

뜻밖의 반품 행렬 배경에는 우리 돈 470만 원에 달하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즐길만한 콘텐츠가 아직 부족하다는 사실이 있습니다.

[유튜버 '네모난꿈' (비전프로 구매) : 쉽게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게 사실상 영화 특히 이제 3D 영화 정도밖에 없는 상황이라서 500만 원을 주고 영화만 보기에는 아무래도 좀 아까운 기계잖아요.]

신제품 1세대가 겪을 수밖에 없는 전형적인 진통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승환/국회 미래연구원 연구위원 : 아이폰이 처음 등장했을 때 이제 첫 모델이 나왔잖아요. 그리고 나서 실제로 앱이 등장한 시기는 그다음 연도였어요.]

같은 형태의 제품을 생산 중인 메타의 최고경영자 저커버그는 이 틈을 놓치지 않았습니다.

[마크 저커버그/메타 CEO : (메타 제품) 퀘스트는 더 편합니다. 우리는 120g은 더 가볍게 만들었습니다. 이건 정말 (비전프로와 비교해) 얼굴에 착용하는데 큰 차이점을 줍니다.]

가격은 비전프로의 7분의 1에 불과하다는 점도 강조했는데, 차세대 확장현실 기기 주도권을 쥐기 위한 신경전으로 해석됩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도 확장현실 기기 개발에 나서 시장 경쟁에 뛰어들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최혜영, 영상출처 : 유튜브 "DrKnowitallKnows"·네모난꿈)

홍영재 기자 yj@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