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 25년만에 일본에 역전당해

박용하 기자 2024. 2. 15. 11: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25년만에 일본에 뒤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달러로 환산한 일본의 경제 규모는 오랜 저성장과 엔화 약세로 인해 14년만에 세계 3위에서 4위로 떨어졌다.

일본 내각부는 15일 지난해 일본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1.9%라고 발표했다. 이는 한국의 지난해 1.4%에 비해 0.5%포인트 높은 수치다. 한국이 일본에 경제성장률에서 뒤진 것은 외환위기 때였던 1998년 이후 25년만에 처음이다.

일본 언론에선 지난해 한·일 경제성장률 역전을 예상하며,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거론한 바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당시 “반도체 불황 같은 일회성이 아닌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도 드러나기 시작했다”며 “한국은행이 저출산·고령화와 생산성 및 경쟁력 저하로 잠재성장률이 오르지 않고 있다고 평가하는 등 한국도 저성장기에 들어갔다는 견해가 강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양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 다시 역전될 가능성도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내놓은 세계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해 실질 GDP 성장률을 2.3%, 일본은 0.9%로 각각 전망한 바 있다. 세계 경제 호전에 따라 한국의 성장세가 회복하는 반면, 일본은 엔화 약세 국면이 마무리 되며 주춤할 것이란 예상이 반영됐다.

한편 일본 내각부는 이날 발표에서 지난해 일본의 명목 GDP가 591조4820억엔이며, 달러로 환산하면 4조2106억달러라고 밝혔다. 엔화 약세로 인해 달러로 환산했을 때 총액이 줄었다. 이에 일본은 55년만에 독일에 뒤지며 세계 4위로 떨어졌다. 반면 독일의 지난해 명목 GDP는 4조1211억 유로로, 달러 환산시 약 4조5000억달러였다.

일본은 고도 성장기였던 1968년에 국민총생산(GNP)을 기준으로 서독을 제치고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올라섰다. 하지만 2010년 중국에 뒤져 3위가 됐고, 지난해에는 독일에 추월당해 4위까지 떨어진 것이다. 2026년 무렵에는 세계 1위 인구 대국인 인도에 추월당해 5위로 내려앉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GDP가 지난해 독일에 밀린 데에는 엔화 약세와 독일의 물가 상승 영향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독일 경제 성장률이 일본을 웃돌았다”며 “IMF 자료를 바탕으로 2000∼2022년 실질 성장률을 단순히 추산하면 독일은 1.2%이지만 일본은 0.7%에 머물렀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약한 수요와 부진한 소비, 품질 인증 논란으로 인한 도요타 자동차 생산 중단 등의 여파로 이번 분기에도 일본 경제가 또 다시 위축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다이이치생명연구소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요시키 신케는 로이터통신에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내수의 핵심 축인 소비와 자본 지출의 부진”이라며 “주요 성장 동력이 없어 일본 경제는 당분간 모멘텀이 부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용하 기자 yong14h@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