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수성 다기능 나노섬유 접착지혈제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팀이 홍합과 누에고치를 사용한 지혈제를 개발했다.
포스텍(POSTECH)은 차형준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와 화학공학과 이재윤 박사 연구팀이 주계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교수, 이종원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홍합과 누에고치에서 유래한 천연 단백질을 사용해 이중층 나노 섬유막 지혈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팀이 홍합과 누에고치를 사용한 지혈제를 개발했다. 혈액 응고 능력이 우수하며, 몸 안에 있어도 안전해 학계 주목을 받고 있다.
포스텍(POSTECH)은 차형준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와 화학공학과 이재윤 박사 연구팀이 주계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교수, 이종원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교수와의 공동연구로 홍합과 누에고치에서 유래한 천연 단백질을 사용해 이중층 나노 섬유막 지혈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거즈나 의료용 밴드 등 기존 지혈제는 피부 표면에만 사용할 수 있다. 피브린 글루나 콜라겐 스펀지처럼 체내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되는 물질도 있지만 사람이나 동물에서 추출한 단백질이 필요해 가격이 매우 비싸다. 무엇보다 현재 사용 중인 지혈제 물질들은 출혈이 발생한 부위에 안정적으로 붙지 않았으며, 감염에 매우 약했다.
연구팀은 수중에서 조직접착력이 강한 홍합 접착단백질과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실크단백질을 기반으로 이중층 접착지혈제를 만들었다. 연구를 통해 홍합 접착단백질이 혈소판을 활성화하는 등 우수한 지혈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다. 메탄올 증기를 사용해 누에 실크단백질의 2차 구조를 변형시켜 외부 표면이 소수성인 나노 섬유막도 만들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안쪽에는 홍합 접착단백질이 포함된 상처 접착층이, 바깥에는 누에 실크단백질로만 구성된 보호층이 결합한 지혈제를 만들었다. 동물 실험 결과 이 지혈제를 사용하면 출혈 부위의 조직 접착과 지혈이 빠르게 진행됐으며, 박테리아 등 감염원이 포함된 수분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았다. 생체 적합성과 생분해성이 우수한 두 단백질로 혈액 응고와 감염 방어가 가능한 새로운 지혈제를 개발한 것이다.
차형준 교수는 “자연에서 유래하고, 인체 내 분해가 가능한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다기능 국소 접착지혈제의 우수한 지혈 성능을 확인했다”며, “실제로 환자 치료나 수술 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이어가겠다”는 밝혔다.
해양수산부 해양바이오산업신소재연구단사업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진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나노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스몰(Small)'에 온라인 게재됐다.
포항=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삼성전기, 갤S24 울트라 카메라 최다 공급
- 삼성전자 '올인원 로봇청소기' 시장 판도 바꾼다
- 양자컴퓨터 클라우드 서비스 하반기 개시
- 美 경찰, 뇌출혈 환자 '음주운전'으로 오인해 구치소 방치
- 뉴욕의 '로보캅' 실패한 이유 [숏폼]
- 프랑스 환경 운동가들, 모나리자 이어 모네 작품에도 '수프 테러'
- “신기술 실증·적용 규제 해소”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 현장 간담회
- “요격 불가능...러, 마하8 미사일 '지르콘' 우크라전에 첫 투입”
- 日서 인간 장기 이식용 돼지 첫 탄생… “내년 인체 이식 목표”
- 충남, 차세대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국책사업 속도전…본예타 통과 목표 5월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