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연의 시적인 순간] 교복에 담긴 마음

2024. 2. 15. 00: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이 교복 맞추러 가는 날이다.

부모들은 아이가 입은 교복을 이리저리 살펴보며 감회에 빠져드는지 저마다의 눈빛으로 애틋해진다.

재단사가 치수에 맞게 꺼내준 교복으로 갈아입고 나온 아이가 왜 이렇게 엉성해 보일까.

다른 아이들도 자기 몸보다 큰 교복을 입고 있었는데, 어떤 아이는 교복이 너무 커서 얼굴이 보이지도 않을 정도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몸 치수보다 훨씬 큰 교복처럼
키워갈 꿈, 돕고픈 게 부모심정
이소연 시인

아이 교복 맞추러 가는 날이다. 토요일은 남학생, 일요일은 여학생 딱 하루씩 지정되어 있어 서둘러 마을버스를 탔다. 작은 간판 하나가 이층으로 우리를 이끌었다. 먼저 온 사람들이 계단 통로에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다. 예전엔 교복비가 부담스러워 졸업하는 선배에게 교복을 물려받기도 했는데, 요즘은 각 지방자치단체 교육청에 신청만 하면 입학준비금을 교복으로 지원해 준다. 이런저런 부담과 걱정을 앞세우지 않고 오롯하게 축하해 줄 수 있는 형편이라는 게 말처럼 쉽지 않은데 작게나마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이다.

부모들은 아이가 입은 교복을 이리저리 살펴보며 감회에 빠져드는지 저마다의 눈빛으로 애틋해진다. 그걸 지켜보는 나도 가슴이 일렁이는 걸 가라앉히느라 혼났다. 생각보다 오래 기다리지 않아 우리 차례가 됐다. 재단사가 치수에 맞게 꺼내준 교복으로 갈아입고 나온 아이가 왜 이렇게 엉성해 보일까. “좀 큰 것 같은데 괜찮나요?”

재단사는 미래를 내다본 듯 확신에 차서 말했다. “지금은 그렇게 보이지만, 금방 작아져요. 무섭게 자랍니다.”

무섭게 자란다는 말이 정말 무섭게 들렸다. 하지만 맞춤복인데…. 뭘 맞춘 걸까? 줄자를 들고 아이의 어깨너비부터 허리둘레 다리 길이까지 세심하게 치수를 잰 사람이 하는 말치고는 앞뒤가 맞지 않아 웃음이 났다. 다른 아이들도 자기 몸보다 큰 교복을 입고 있었는데, 어떤 아이는 교복이 너무 커서 얼굴이 보이지도 않을 정도였다.

재단사가 앞으로 커나갈 키와 몸무게까지 내다보면서 셔츠와 바지와 재킷을 꺼내준 것일까? 그러니까 지금의 치수가 아니라 미래의 치수를 잰 거라면 우리 아이가 입고 있는 건 너무 작은 게 아닌가 싶기도 했다. 그래 앞으로 또 얼마나 더 자랄까, 미래의 치수 앞에서 흐르는 시간이 야속하기만 하다. 아이와 함께 쌓고 싶은 추억이 많았는데 몸과 마음이 바쁘기만 했다. 나는 교복을 입고 선 아이 앞에서 어리벙벙하기만 하다. 그 옆에서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6학년 마지막 날까지 등굣길을 함께한 남편은 흐뭇하게 웃고 있다.

교복을 가지고 집에 와서 다시 입혀 보았다. 소매가 길지만 그래도 어른스러워 보였다. 사진을 찍어 가까운 이들 몇 명에게 보냈더니 덕담이 쏟아진다. 김은지 시인은 교복이 주는 감흥이 특별했던 모양이다. 입학 축하한다고 용돈을 보내주었는데 엄마 생일 선물 살 때 보태라며 돈 쓰는 요령까지 전해줬다. 고마운 마음으로 따뜻하게 데워지는 중인데 엄마에게 전화가 왔다.

“애가 교복을 입은 게 아니라 포댓자루를 뒤집어쓴 것 같아. 너무 커서 어쩐다니?”

“그렇게 입어야 한대. 진짜 금방 큰대! 이제 자랄 일밖에 없어.”

“그래도 그렇지, 희망이 너무 과해!”

웃음이 터졌다. 과하긴 과하다 싶으면서도 과한 나의 희망이 마음에 들었다. “분명히 한 계절에 10센티미터씩 클 거야.”

남편은 교복 바지와 셔츠를 다리미로 반듯하게 다려놓았다. 우리 아이가 저 교복을 입고 청소년기를 지난다고 생각하니 코끝이 시큰해졌다. 교복 한 벌에 마음을 담고 담다 보니 부적을 쓴 듯 든든해진다. 문득 이시영 시인의 차부에서란 시가 떠오른다. “중학교 일 학년 때였다. 차부(車部)에서였다. 책상 위의 잉크병을 엎질러 머리를 짧게 올려 친 젊은 매표원한테 거친 큰소리로 야단을 맞고 있었는데 누가 곰 같은 큰손으로 다가와 가만히 어깨를 짚었다. 아버지였다.”

등 뒤에 있어도 위로가 되고 위안이 되는 일은 얼마나 크고 눈부신 일인가. 묵묵하게 지켜보고 싶다. 마음이 왈칵 쏟아지더라도 가만히 아이의 어깨를 짚어주는 곰 같은 큰 손이고 싶다.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