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에 육아휴직 꺼냈다가 "여기가 대기업? 퇴직해라"

손기준 기자 2024. 2. 13. 21: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심각한 인구 문제의 해법을 짚어보는 SBS 연중 기획.

300명 이상 사업체 절반은 육아휴직 사용 실적이 있지만, 업체 규모가 작아질수록 낮아져 5~9명 사업체에서는 육아휴직 사용 실적이 고작 6%에 불과합니다.

영세 업체일수록 육아휴직을 쓰지 못하는 건데, 그래서 육아휴직을 신청만 하면 사업주 승인이 없어도 자동 개시되는 제도를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심각한 인구 문제의 해법을 짚어보는 SBS 연중 기획. 오늘(13일)은 당연한 권리지만 여전히 마음 편히 쓸 수 없는 육아 휴직 문제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사회에서는 직장인 5명 가운데 1명은 육아 휴직을 쓸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고 특히 규모가 작은 회사일수록 육아 휴직은 먼 나라의 이야기라고 말합니다.

먼저 그 실태를 손기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대형 카페에서 9개월 넘게 일한 A 씨.

지난달 육아휴직을 신청한 뒤 대표 부부와 면담했습니다.

그 자리에서 대표 남편은 사직을 요구했습니다.

[대표 남편 : 왜 그런 걸 왜 하는 거야 우리한테. 그냥 퇴사하라니까! 권고사직 해줄 테니까 그냥 퇴직해.]

욕설을 퍼붓기도 했습니다.

[대표 남편 : 야! XXX야. 여기가 무슨 대기업이야 이 XXX아? 야, 적자나 죽겠는데 이 XXX아! 야, 이 X같은 X아, 야 니 남편 오라 그래 XXX아!]

A 씨는 도망치듯 자리를 빠져나왔습니다.

[A 씨 : 제가 이 상황에서 다시 나가서 근무할 수는 없는 상황이잖아요. 전 진짜 너무 두렵거든요.]

대표 남편은 욕설한 걸 사과하면서도 경영상 어려움을 호소했습니다.

[대표 남편 : 4대 보험도 있고 연차·월차도 줘야 한다고 하고, 거기다가 퇴직금이 10개월 (근무)이면 안 줘도 되는데….]

경찰과 노동청 조사가 시작되자 뒤늦게 육아휴직을 승인했습니다.

A 씨 경우처럼 육아휴직 신청을 거부당해 노동청에 신고된 사례는 지난 5년간 641건에 달합니다.

이 가운데 재판에 넘겨진 사례는 23건뿐인데, 노동청의 시정 요구를 받아들인 업체 입장을 고려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중소기업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B 씨도 황당한 일을 겪었습니다.

회사가 육아휴직이 배제된 휴가 안내문에 서명을 요구했기 때문입니다.

[B 씨 : 전 직원이 사인했는데 저만 비동의를 했어요. 비동의한 사례가 제가 처음이었거든요.]

이후 육아휴직을 신청하자 협박이 이어졌습니다.

[B 씨 : (대표가) '돌아왔을 때 너가 있을 자리가 어디 있을까?' 이런 식으로 얘기하고….]

300명 이상 사업체 절반은 육아휴직 사용 실적이 있지만, 업체 규모가 작아질수록 낮아져 5~9명 사업체에서는 육아휴직 사용 실적이 고작 6%에 불과합니다.

영세 업체일수록 육아휴직을 쓰지 못하는 건데, 그래서 육아휴직을 신청만 하면 사업주 승인이 없어도 자동 개시되는 제도를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김미정/서울시 동부권직장맘지원센터 법률지원팀장 : (육아휴직) 신청에 들어가면 승인이 없어도 자동 개시될 수 있는 조항으로 변경돼야 한다….]

육아휴직 미이행 사업주에 대한 제재 수위를 높이자는 주장도 있습니다.

[허민숙/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 사업주들이 이거를 모를 리 없거든요. 거의 처벌받지 않는다. (벌금) 100만 원이 선고되기도 하고 그러니까 차라리 그런 식으로 하는 것이 경영상 훨씬 더 유리하다 (보는 것입니다.)]

반면 이를 보장하려는 영세업체를 지원해야 한다는 제안도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황인석·김승태·하 륭·강시우, 영상편집 : 박기덕, 디자인 : 김규연)

▷ "퇴사 강요에 동료에겐 민폐"…육아휴직은 그림의 떡 (풀영상)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534953]
▷ "동료에게 미안해서"…육아휴직 대체 인력은 어떻게?
[ 원문 링크 : https://news.sbs.co.kr/d/?id=N1007534919]

손기준 기자 standard@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