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족쇄’ 벗었는데···‘코리아리스크’ 여전하네[줌컴퍼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이 경영권 불법 승계 혐의를 벗으며 한숨을 돌렸지만 회사를 둘러싼 사법리스크가 여전히 산적해 경영 시계가 불투명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주춤한 삼성전자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효율적인 경영 콘트롤타워를 확립하고 기업 활동을 뒷받침할 여건이 우선돼야 하지만 높은 세율, 공익법인 규제 등 각종 제도적 허들이 이를 가로막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높은 세율·공익 법인 규제 발목
대기업 주식대출 1년 사이 2조 ↑
부정 여론 속 개선 동력도 요원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이 경영권 불법 승계 혐의를 벗으며 한숨을 돌렸지만 회사를 둘러싼 사법리스크가 여전히 산적해 경영 시계가 불투명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주춤한 삼성전자를 정상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효율적인 경영 콘트롤타워를 확립하고 기업 활동을 뒷받침할 여건이 우선돼야 하지만 높은 세율, 공익법인 규제 등 각종 제도적 허들이 이를 가로막고 있다는 분석이다.
6일 업계에서는 이 회장의 무죄 판결로 삼성 경영 정상화에 속도가 붙겠지만 여전히 ‘코리아리스크’가 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높은 상속세와 법인세가 대표적이다. 한국의 실질 상속세율은 최대 60%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상속·증여세수 비중은 국내총생산(GDP)의 0.7%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늘었다. OECD 회원국 중 프랑스, 벨기에와 공동으로 가장 높은 비중이다. 높은 법인세도 기업 연구개발과 생산설비에 대한 투자 활동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힌다. 한국의 법인세 최고세율은 24%로 역시 전세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일본(23.2%), 미국(21%), 대만(20%) 등 주요국과 비교해도 약 1~4% 포인트 높다.
그러는 사이 대기업 총수 일가의 주식담보대출은 1년 사이 2조 원 넘게 늘었다. 주식담보대출은 의결권 행사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총수 일가가 승계용 자금이나 상속세를 납부 용도로 활용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기업 집단 72곳 중 상장 계열회사 주식을 보유한 57곳을 살펴본 결과 올 1월 말 기준 주식담보대출은 7조 1908억 원으로, 2022년 말(5조 1681억 원) 대비 2조 227억 원(39.1%) 증가했다.
기업들의 세 부담을 낮추며 투자를 촉진하고 경영권 승계를 돕는 공익 법인이라는 우회로도 국내에서는 사실상 막혀있다. 현행 국내법에 따르면 대기업 공익법인은 계열사 주식을 5% 이상 취득할 경우 증여세를 물도록 강제하며 공익법인 지분을 통해서는 의결권도 행사할 수 없다. 미국, 일본 등 국가는 지분율 20~50%까지 세금을 아예 물리지 않고 있다. 의결권 제한도 한국이 유일하다.
해외 유력 기업들이 공익 법인을 통로로 경영의 연속성을 이루고 사회문제 해결에 이바지하는 현실과 대조를 이룬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MS 주식을 출연해 자선 재단을 설립한 뒤 세계적인 사회문제 개선에 공헌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 또한 첸 저커버그 재단을 통해 메타의 의결권 53.7%를 행사하고 메타버스와 인공지능(AI) 등 미래 산업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악조건 속에 삼성의 지배구조 개편 문제는 뾰족한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 회장은 삼성물산 지분을 통해 삼성생명, 삼성전자를 간접 지배하고 있지만 삼성전자에 대한 지분율은 1.63%에 불과하다. 삼성의 외부 감시 조직인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도 지배구조 개편을 핵심 과제로 추진했으나 현 제도 아래서 뚜렷한 해법을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법제도 개정도 요원한 상황이다. 경영권 승계를 부정적으로만 보는 사회적 시선에 이를 개선할 동력 자체가 마련되지 않고 있어서다. 한국경제인협회 관계자는 “넥슨 상속세 사태에서 보듯 지나친 상속세는 넥슨 같은 큰 기업마저 뒤흔드는 변수가 되고 있다”며 “또 경영 승계를 무조건적 악으로 보는 시선은 현실적이지 않다. 기업의 긍정적 영향력을 극대화하면서 경영 승계를 유도하는 제도 개선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허진 기자 hji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 우리의 캡틴…손흥민 복귀하자마자 극장골 어시스트
- 올트먼은 '1경 원'으로 뭘 하려는 걸까?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 '만취 벤츠녀' 유명 DJ, 옥중 사과에도…'엄벌해달라' 탄원에 1100명 참여
- '30초에 '93억'도 아깝지 않다'…스위프트 가세로 더 뜨거워진 '슈퍼볼' 광고 전쟁
- '설날에 시댁 가기 싫어요'…차례상 엎고 법정으로 가는 사유 될까[이슈, 풀어주리]
- 아버지 죽었다더니…‘사망사고 만취 벤츠녀’의 황당한 반전
- 나이 속여 술 마시고 신고 영업정지…尹 현장서 '당장 조치하라' 지시
- 교통사고 내고 음주측정 거부한 가수 김정훈 결국…
- 월급쟁이 평균연봉 4214만원…최상위 2만명은 얼마받나 보니
- 키스 구걸하다 강제로…유부남 고위간부 '강제 입맞춤' 영상에 대만 '발칵'